

이날 취업캠프에서 만난 경북대 응용생명과학부 백다은(여·23)씨는 “그동안 정부가 청년 실업을 해소하겠다고 그토록 목소리 높여왔지만 대학현장에서 느끼는 것은 전혀 개선된 게 없다”며 “오로지 졸업 후 취업에 성공하는 게 유일한 목표”라고 말했다. 식품공학과 송홍욱(25)씨는 “정부가 그동안 성장을 도외시한 복지우선 정책을 펼쳐오면서 청년실업이 더욱 심각해졌다”며 “가장 필요한 건 보다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다음날인 지난 26일 오전 4시30분, 경기 성남시 태평1동 모란시장 부근의 인력시장에서 만난 이들도 한목소리로 “일자리를 늘려달라”고 하소연했다. 이날 인력시장 인근에서 초조한 모습으로 담배를 피우고 있던 이용학(56)씨는 “지난 한달동안 일한 날이 손으로 꼽을 정도”라며 “최근엔 중국교포와 동남아인들까지 건설현장에 대거 몰리면서 하루 일감 잡기가 하늘의 별따기”라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건설 일용직부터 대학 졸업을 앞둔 취업 준비생까지 온 나라가 ‘일자리 구하기’에 아우성이다. ‘경제대통령’을 표방한 이명박 대통령이 공식 취임했지만 국민들은 그 어떠한 거창한 경제구호보다 실속있는 단 한개의 일자리를 원하고 있는 것이다.
전임 노무현 정부 당시 성장이 정체되고 기업투자 위축세가 심화하면서 그 결과는 고스란히 고용창출 능력 저하로 이어졌다. 실제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지난 23일 발표한 ‘한국의 청년고용’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청년취업률은 27%로 OECD 평균(43%)보다 16%포인트나 낮았다. 지난 2003년 34만명이었던 취업준비생은 2007년 54만명으로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20~30대 취업자는 1052만명에서 1002만명으로 줄었다.
이같은 고용악화는 올들어서 더욱 심화되는 분위기다. 실제로 통계청이 올들어 처음 발표한 1월 취업자수 증가는 전년 동기대비 23만5000명에 그쳤다. 취업자 증가 폭이 25개월 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것. 연평균 60만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이명박 정부 목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명박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넘어야 할 산이 그만큼 높고도 험한 셈이다.
더욱이 최근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여파와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세 지속으로 수출 등 한국 실물경제에도 타격이 현실화되면서 일자리를 걱정하는 목소리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경제계는 “기업은 국부의 원천이요, 일자리 창출의 주역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기업이 사랑 받아야한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사에 주목하고 있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새 정부가 나서 대기업들이 신규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경제환경을 만들어야한다”며 “출자총액제나 수도권규제 등 기업투자의 발목을 잡아온 규제를 철폐하고 투자기업들에 세액공제 등의 유인책을 제공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경주·성남 = 박민철기자 mindom@munhwa.com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