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민주당은 오는 4·9 총선을 앞두고 ‘고소영(고대, 소망교회, 영남) 인사’와 ‘강부자(강남 땅부자) 내각’에 이은 사정 라인의 영남 편중 인사 논란을 쟁점화할 태세다. 특정 지역 편향 인사를 이명박 정부 견제론에 대한 명분으로 삼아 이번 총선에서 호남을 주축으로 한 전통적인 ‘민주개혁세력’의 결집을 꾀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민주당 강금실 최고위원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고대, 영남인사에 대해 굉장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다시 국정원장에 고대 영남출신 인사를 앉히겠다는 것은 국민을 너무 무시하는 처사가 아닌가”라며 “이제 장안에 ‘영남 브라더스’란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영남으로 사정 라인을 가득 채워서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강 최고위원은 이어 “유신 말기 법무, 내무, 중앙정보부, 비서실장이 전부 영남이었다. 국민들 숨도 쉴 수 없게 불안하고 무서웠던 정권말기 현상이 어떻게 새 정부 초기에 나타나는가”라며 “사정 라인을 이렇게 채워나가면 누가 견제할 것인가 매우 염려된다”고 김 전 장관의 국정원장 내정 철회를 촉구했다. 당의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이 사정기관을 수하에 놓고 권력을 휘두르면서 권위주의적 통치방식을 복원하겠다는 의도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종필 대변인은 28일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도 영남 출신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사정기관의 장들을 소집하면 완벽한 영남향우회가 될 것”이라며 “어떻게 출범 초부터 노골적으로 영남정권임을 내외에 과시하는지 참 이해하기 힘들다”고 했다. 최인기 정책위의장은 성명을 내 “우선 사정기관의 간부들이 특정 지역의 인사들로 구성될 우려가 있으며, 그럴 경우 정보 수집 차원에서도 특정 지역에 한정될 수 있어 국민통합을 저해하고 소외 지역의 불만을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지역 안배 기준보다 글로벌 코리아라는 국정 방향과 경제 살리기라는 국민 여망에 비춰볼 때 국가정보기관이 바로 서야 한다, 선진화 해야 한다는 기준에서 누가 적임자인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며 “4대 권력기관에 대해 여러 논란이 있지만 실제 두 분(임채진, 어청수)은 지난 정부에서 기용한 분”이라고 했다.
이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김성호 내정자에 대해 철회 압박이나 청문회 거부 등의 ‘극단 조치’는 취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편중 인사 논란을 공격 소재로 삼아 이번 총선의 핵심 이슈로 끌고 갈 가능성도 적지 않다.
김충남기자 utopian21@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