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실 이 대통령은 미국 순방중에 협상 타결 소식을 전해듣자마자 국내 여론 동향에 대한 체크와 충분한 정부측의 설명과 대책을 담은 홍보전략 등을 관련자들에게 지시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가 목격한 현실은 정반대였다. 정부의 홍보대책이 미흡한 틈을 타서 인터넷 등에서는 광우병에 대한 괴담이 ‘실상’을 왜곡하고 있었고 이는 대규모 촛불집회로 이어졌다. 정부 관계자들도 미국 연방 관보의 문구조차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해 오역을 인정하는 등 ‘있어서는 안 될’일도 발생했다.
이런 현실에 대한 답답함과 안타까움이 “소통문제에 있어 다소 부족한 점이 있지 않았나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일종의 ‘고해성사’로 이어진 셈이다. 그는 이어 “이번에 모든 문제(광우병과 조류인플루엔자 등)를 놓고 국민건강과 식품안전에 대한 것이 얼마나 중요한 국민의 관심사인가를 우리가 알게 됐다”며 “이런 국민건강과 식품안전에 관한 문제는 정부가 사전사후에 국민과 완벽하게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통문제’에 대한 이 대통령의 언급은 동시에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등 관련자들에 대한 ‘질타’로도 해석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들이 사전사후에 국민과 완벽하게 소통을 했었다면 이런 ‘불필요한 오해’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이날 차분한 목소리로 “앞으로 국무위원은 각 분야 정책집행에 있어 국민과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최우선의 과제로 두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지만, 그 속에는 ‘제2의 쇠고기파동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강한 지시가 담겨있는 셈이다.
심은정기자 ejsh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