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핵심 밝혀… 명문대 1곳 이공계열 이전도 확정 정부가 2005년 국회를 통과한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건설특별법에서 규정한 ‘행정중심’이라는 문구를 삭제하는 법개정을 추진, 교육·과학·비즈니스 개념을 합친 다기능 복합도시로 성격을 변경키로 한 가운데 5대기업 본사 1곳과 명문대학 이공계열이 일단 세종시로 이전키로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13일 문화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대기업 서열 5위 안에 드는 대기업 헤드쿼터(본사) 1곳이 세종시로 가기로 됐다”며 “나머지 대기업들도 첨단기업이나 공장들이 내려가기로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2개 대학과 교섭 중인데 1개 대학이 이공계열을 내려보내기로 확정됐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 직계인 한 한나라당 의원도 이날 “서울대 공대나 고려대 이공계열, KAIST 등이 내려가고 대기업의 정보·기술(IT), 항공우주산업 등 첨단산업이 내려가기로 얘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행정도시에서 교육과학비즈니스 도시로 성격이 바뀌는 대신, 정부가 당초 부처 이전 때의 예산보다 2배 이상 더 많이 투입하는 것으로 짜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권태신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제2차 세종시 정부지원협의회 회의를 열고, 세종시의 성격을 행정도시가 아닌 기업도시로 변경키로 하고 세종시법 개정을 공식화했다.(문화일보 11월12일자 1면 참조) 권 총리실장은 “수도 분할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행정 중심에서 기업 중심으로 도시의 개념을 바꾸는 목적에서 법 개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도시 개념 변경을 위해서는 현행 세종시법 1조에 명시된 ‘행정중심복합도시’ 명칭과 취지 등을 모두 바꿔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세종시법을 폐지에 가까울 정도로 전면 개정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김세동·신보영기자 sdgim@munhwa.com
여권 핵심관계자는 13일 문화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대기업 서열 5위 안에 드는 대기업 헤드쿼터(본사) 1곳이 세종시로 가기로 됐다”며 “나머지 대기업들도 첨단기업이나 공장들이 내려가기로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2개 대학과 교섭 중인데 1개 대학이 이공계열을 내려보내기로 확정됐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 직계인 한 한나라당 의원도 이날 “서울대 공대나 고려대 이공계열, KAIST 등이 내려가고 대기업의 정보·기술(IT), 항공우주산업 등 첨단산업이 내려가기로 얘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행정도시에서 교육과학비즈니스 도시로 성격이 바뀌는 대신, 정부가 당초 부처 이전 때의 예산보다 2배 이상 더 많이 투입하는 것으로 짜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권태신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제2차 세종시 정부지원협의회 회의를 열고, 세종시의 성격을 행정도시가 아닌 기업도시로 변경키로 하고 세종시법 개정을 공식화했다.(문화일보 11월12일자 1면 참조) 권 총리실장은 “수도 분할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행정 중심에서 기업 중심으로 도시의 개념을 바꾸는 목적에서 법 개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도시 개념 변경을 위해서는 현행 세종시법 1조에 명시된 ‘행정중심복합도시’ 명칭과 취지 등을 모두 바꿔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세종시법을 폐지에 가까울 정도로 전면 개정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김세동·신보영기자 sdg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