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산정책연구원(원장 함재봉)이 23일 발표한 ‘3월 정기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응해 남한도 핵무기 개발을 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응답자의 68.6%(‘매우 찬성’ 34.7%, ‘대체로 찬성’ 33.9%)가 찬성 의견을 보였다. 반대 의견은 28.9%(‘매우 반대’ 10.1%, ‘대체로 반대’ 18.8%)였다.
‘북한의 위협이 사라질 때까지 당분간 미국의 핵무기를 한반도에 배치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찬성 의견이 67.3%(‘매우 찬성’ 31.8%, ‘대체로 찬성’ 35.5%)로 반대 의견 30.1%(‘대체로 반대하는 편’ 17.2%, ‘매우 반대’ 12.9%)의 2배를 넘는 수준이었다. 지난달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원유철 국회 국방위원장 등이 ‘조건부 핵 보유론’을 주장한 이후, 핵 보유론에 대한 여론이 광범하게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한 평가는 74.9%(‘매우 위협 느낀다’ 35.5%, ‘다소 위협 느낀다’ 39.4%)가 위협적이라고 평가한 반면, 24.4%(‘별로 위협 느끼지 않는다’ 20.0%, ‘전혀 위협 느끼지 않는다’ 4.4%)는 비위협적으로 평가했다.‘북한의 핵공격 시 미국이 남한을 위해 핵무기를 사용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럴 것’이라는 응답이 50.6%, ‘그렇지 않을 것’이란 응답은 41.1%였다. 남북통일 이후 한·미동맹의 지속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82.2%로 ‘필요하지 않다’(15.0%)는 응답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1일 휴대전화를 이용하는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오승훈기자 oshun@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