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주요 예측기관들에 따르면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에서 2.3%로 하향 조정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중국 경제 침체 우려, 일본 아베노믹스의 부작용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을 감안한 전망이었다. 주로 민간 경제연구소들의 전망이 밝지 못한데, 현대경제연구원도 종전 3.1%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6%까지 끌어내렸다. LG경제연구원과 삼성경제연구소도 전망치를 낮추려는 모습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올해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3.2%에서 2.8%로 하향 조정했었다. 정부 수정 전망치인 2.7%보다는 높은 수치지만, 최초 4.0%에서 3차례에 걸쳐 1.2%포인트나 끌어내린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 5월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3.0%에서 2.6%로 낮춘 바 있다.
KDI가 성장률을 끌어내린 지난 5월 이후 한 달 사이에 경제환경이 얼마나 변했는지는 모르지만, 정부는 KDI보다 향후 경제상황을 더 낙관적으로 바라본 것이다.
유일하게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7월 발표될 경제전망에서 현재 2.6%로 예상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높일 수 있다는 뜻을 밝혀 정부와 보조를 맞추고 있는 모습이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정부와 같은 4.0%로 예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하반기 한국 경제 대외 변수로 미국·중국·일본 경제의 영향과 대내 변수로 경제민주화·부동산 세제 등 모두 5가지 대내외 변수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며 “하반기 성장률도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양수 기자 yspark@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