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 원로들의 비판국가정보원 댓글사건 수사 과정을 둘러싸고 온 국민이 지켜보는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전례 없는 ‘막장드라마’가 펼쳐지자 전직 검찰총장 등 검찰 원로들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한목소리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익명을 요구한 A 전 검찰총장은 22일 “검찰 내부의 의견조율 과정이 외부로 공개되면 국민들이 불안해 하는데 거침없이 공개된 모습을 보고 기가 막힌 심정이었다”며 “검찰 내부의 의견이 다를 때는 내부의 법과 규칙에 따라 진행돼야 하는데 그런 것이 지켜지지 않은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종빈 전 검찰총장은 “상사의 합법적인 결재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면 아무리 진실규명이 중요하다고 해도 잘했다고만 볼 수는 없다”며 “수사를 하면서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검사장을 설득해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하는데 각각 진실을 판단해 수사한다면 검찰은 통제가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B 전 검찰총장은 “수사에서 내부적으로 의견조율이 안 될 때는 설득의 과정이 필요한데 아랫사람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상관에게도 책임은 있다”고 밝혔다.

정성진 전 법무부 장관은 “조영곤 서울중앙지검장이나 윤석열 여주지청장이나 나름 명분은 있고 논리는 있지만 결과적으로 검찰의 갈라진 모습이 많은 시민들이 보는 국감장에서 노출된 게 검찰에 대한 신뢰를 더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아 참담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여러 우려 속에서도 마찰 자체는 긍정적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C 전 검찰총장은 “안타까운 일이긴 하지만 서로 다른 의견이 있다는 것은 건강한 조직이라는 걸 보여준 게 아니겠느냐”면서 “수사를 하다 보면 완벽하게 절충되는 경우는 잘 없는데 지검장과 지청장의 말이 모두 맞는 측면이 있는 만큼 지금의 사태를 애정을 갖고 지켜봐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제언도 이어졌다. 김 전 총장은 “검찰총장을 중심으로 하나의 유기적인 조직체로서 활동해야 하고 앞으로 선출될 새 총장은 외부도 중요하지만 절대적으로 조직원으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는 사람이어야 한다”며 “정치적 색깔보다 내부의 신망이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D 전 검찰총장은 “조 지검장은 결과적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고, 총장 부재 상황에서 검찰 리더십이 한계를 보이고 있는데 후임 총장이 어서 세워져야 하고 검찰 간부들이 책임지고 수습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하·김대종 기자 kdhaha@munhwa.com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