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이통 영업정지 파장… 매출 감소 여객선 진도 침몰 참사와 이동통신사들의 영업정지 사태 등이 국내 생산과 소비에 영향을 미치면서 내수 회복에 타격을 주기 시작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5% 감소하면서 3월(0.6%)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소매판매 역시 전달 대비 1.7% 줄어 두 달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광공업 생산은 0.1% 늘어 2개월째 증가세를 보였지만 증가폭은 3월(0.9%)에 비해 둔화됐고, 소매판매와 함께 서비스업(-1.0%)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특히 예술·스포츠·여가업은 전월 대비 11.6% 감소하면서 ‘세월호 타격’을 제대로 받았다.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의복 등 준내구재(-3.0%)와 차량 연료 등 비내구재(-1.9%) 모두 3월에 비해 감소세를 기록했고,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0.3%)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통신기기의 경우 이동통신사들의 영업정지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도소매(-1.8%)와 숙박·음식점(-3.2%) 등도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증가(0.9%)했지만 전달에 비해서는 모두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등 소비와 관련된 대부분 업종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승용차·연료소매점(6.1%)이나 편의점(5.0%), 무점포소매(4.9%) 등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소비와는 달리 설비투자는 일반기계와 자동차 등에서 투자가 늘어나면서 전달 대비 2.6% 증가했다.

전백근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이동통신사의 영업정지가 소비 부진의 가장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며 “음식점 같은 여가 서비스업의 부진에는 세월호 사고가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

관련기사

임대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