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한국 근현대사 편을 읽어보면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다. ‘북한은 가난하지만 착한 나라, 남한은 부자지만 나쁜 나라’다. 미래세대를 암울한 과거에 가두는 행위다. 참으로 답답하다. 학부모 단체에서는 왜곡이 아주 심한 5종의 교과서를 교육부가 즉각 회수해야 한다는 성명을 냈다.
검정교과서를 분석한 책에 따르면, 대한민국 건국 폄훼, 한반도 전역의 합법성을 인정한 유엔 결의 왜곡, 북한의 토지 개혁 미화, 6·25 남침의 확전설과 유도설 유포, 주체사상 선전, 북한의 수많은 도발 누락 등의 측면에서 5종은 ‘대한민국 교과서가 아니다’. 북한의 주체사상 등 선전선동 문구를 비판없이 실었다. 유독 시위하는 사진을 많이 실어, 이렇게 배우면 졸업 후 할 만한 가치있는 일은 정부나 기업에 반대하는 정치나 노동운동이 된다. 이들 교과서의 내용을 취사선택하는 사관(史觀)은 우리 헌법에 반하는 것으로, 계급투쟁사관, 민중사관, 수정주의사관, 주체사관 등이다. 그나마 교육부의 수정 지시로 이 교과서들의 이념적 성향은 물타기가 됐고 더욱 교묘해졌다. 부분 수정해서 될 일이 아니고 다시 써야 한다.
유관순 열사를 교과서에서 삭제한 것도 실수가 아니다. 이런 사관에 따르면 유관순은 미제국주의자들의 감리교단이 설립한 이화학당을 다녔으며, 그는 노동자 농민이 아니라 당시로 보면 엘리트 지식인이었고, 공산주의가 증오하는 기독교인이었으며, 적극적 폭력 투쟁이 아니라 평화적 만세시위에 그쳤기 때문에 ‘역사적 가치가 없다’. 마치 프랑스 교과서에 잔 다르크가 빠진 격이다. 3·1운동-광주학생운동을 통해 그 또래 청소년들이 국가 위기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뚜렷이 가르쳐야 한다.
국사 교육에서는 대한민국이 건국·산업화·민주화에 성공해 세계 중심국가로 발돋움한 자랑스러운 나라임에 자긍심을 갖도록 가르쳐야 한다. 반역사적·반인륜적·전체주의적 세습독재인 북한을 옹호·두둔해서는 미래가 없다.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서 국민의 마음과 힘을 모아야 하는데 한국사 교과서는 오히려 그 훼방꾼이다. 현 검정교과서는 값은 비싸져 겉은 화려해졌지만 민족적·국가적 얼이 빠졌다.
민주화 이후 벌써 20여 년째 잘못된 반헌법적, 반대한민국적 한국사 교육을 방치해왔다. 차제에 한국사 교과서와 교육을 정상으로 되돌려야 한다. 자유민주주의, 풍요의 자유시장경제 체제를 옹호하고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는 헌법정신에 따라 근현대사를 새로 써야 한다. 교과서 오류 통계에 따르면 5∼9명이 쓴 한국사 교과서가 가장 많다고 한다. 한국사는 폐쇄적 소수가 아니라, 다수가 개방적으로 다시 써야 한다. 교육부도 한국사를 특별히 취급해 교육과정 기준을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 타당한 통설과 정설의 정사(正史)로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나 수능 출제자나 수험생들 모두 치우친 검정보다 차라리 단일본 정통 교과서가 더 낫다.
현대사는 역사학자들의 독점물이 아니며, 당대사는 아직 역사가 아니다. 8·15, 6·25 등 현대사를 몸소 겪은 각계각층 대표들의 조언을 거쳐야지, 겪지도 않은 젊은 교사들이 이념만 앞세우면 역사는 왜곡된다. 특히, 과거 정권의 핵심 실세가 정치활동을 하는 최근 20∼30년의 당대사는 한국사에서 제외해야 한다. 그 내용들은 사실에 바탕해서 쓰는 사회과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책에서 다루면 된다. 정기적으로 개정판(edition)을 내는 한국사 교과서가 나와야 권위를 갖게 되고 이에 국민은 안심할 것이다. 국민은 새로운 한국사 교육을 통해 길러지는 다음세대가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역사에 정통성·정체성·자긍심을 가지고 통일 한국으로 계승해 주기를 바란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