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직원들이 5일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알펜시아 스키점프대 앞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다짐대회’를 열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제공
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직원들이 5일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알펜시아 스키점프대 앞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다짐대회’를 열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제공
현재 300명… 내년까지 700명으로 늘려야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 여부는 전문 인력 확보에 달려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경기장 건설부터 실제 대회 기간 경기 운영까지 관련 종목을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동계스포츠 저변이 넓지 않은 국내에서 동계 종목 전문가를 충분히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 공무원들도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파견을 기피한다. 이에 따라 인력 양성의 높은 벽에 부딪힌 평창 조직위는 해외 전문가까지 접촉하고 있다.

◇민간 전문인력 모집·육성 시급 =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지난 2009년 533억 원을 들여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알펜시아에 지어진 스키점프대에서는 그해 열린 대륙간컵 스키점프 대회에서 미국 선수가 바람에 중심을 잃고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국제스키연맹(FIS) 규정 풍속은 초속 3m 미만인데 대관령면의 2월 낮 시간 풍속은 평균 초속 3.2m, 최대 초속 5m에 달한다. 이런 사항을 잘 아는 전문가가 있었다면 방풍막이 필요하다는 것을 미리 알았을 것이다.

전문 인력 확보는 당장 시급한 과제다. 현재 조직위 인력이 약 300명인데, 올해부터 조직 확대 계획 3단계로 접어들어 내년까지 700명으로 늘려야 한다. 조직위는 지난해 11월 민간전문직 채용시험을 통해 20여 명을 추가로 선발했다. 1월 말에는 아이스하키 경기운영인력 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등 전문가 영입 및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 한계가 있다. 국내에 동계 종목 전문가가 드물기 때문. 채용시험으로 뽑은 20여 명 가운데 스포츠매니저(종목별 경기운영 책임자)를 돕는 ‘부(副)스포츠매니저’ 8명, 빙상 종목에서 경기장 관리를 맡을 ‘경기장 매니저’ 2명 등 실제 경기 운영과 직접 관련된 인원은 10명뿐이었다. 조직위 관계자는 “대회까지 남은 기간이 3년 남짓이라 근무기간이 긴 것도 아니고, 조직위 대부분 부서가 연내 평창으로 옮겨갈 예정이어서 인기가 더 떨어지는 상태”라고 토로했다.

◇인력난에 외국 전문가 모시기 = 조직위는 1인당 연간 3억∼5억 원으로 예상되는 지출을 감수하더라도 외국 전문가 초빙을 추진 중이다. 조직위 관계자는 “2014 소치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 활동했던 전문가 몇 명과 이미 접촉하고 있다”며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통해 분야별 전문가를 2∼3배수로 추천받아 영입에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설상 종목이나 썰매 종목의 경우 국내에서 큰 대회를 치러본 경험도 거의 없기 때문에, 경기 운영의 세세한 내용까지 꿰고 있는 전문가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며 “해외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공무원 전문성 부족에 파견도 기피 = 조직위 인원의 3분의 1 이상을 공무원이 차지하고 있지만, 조직위 관계자는 “체육 분야를 오래 담당해온 공무원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귀띔했다. 무엇보다 공무원들은 본업이 아닌 조직위 업무에 전력투구할 이유가 없다. 보통 1년∼1년 6개월 정도 지나면 원 소속기관으로 복귀하려 한다. 특히 지방공무원들은 주로 하위직이 파견돼 왔기 때문에, 조직위 파견 대상이 되면 ‘좌천’으로 받아들이는 실정이다. 조직위 파견 공무원에게 근무평점 가산점까지 주는 데도 기피하고 있다. 조직위 관계자는 “공무원의 잦은 인력교체로 효율적 업무추진이 저해된다”며 “파견 공무원들이 의욕을 갖고 대회 종료까지 근무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수차례 정부에 요청했지만 반응이 없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tarant@munhwa.com
박준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