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조성진 사장“중국産, 95%까지 따라와… 생활가전·에어컨 역량 결합 시너지 극대화·새로운 도약”

LG전자가 중국과 일본업체의 선전을 경계하면서 생활가전과 에어컨 사업을 통합한 ‘토털 홈 솔루션(Total Home Solution)’ 전략으로 글로벌 가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기로 해 주목된다.

조성진(사진) LG전자 생활가전(H&A) 사업본부장(사장)은 7일(현지시간) 세계 가전 전시회인 ‘CES 2015’가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생활가전과 에어컨 사업 역량을 결합해 진정한 ‘토털 홈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가전 리더로서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브랜드파워가 아직 떨어지지만 제품 면에서는 95%까지 따라왔고 일본도 엔저를 등에 업고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앞으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말 조직개편에서 생활가전 사업과 에어컨 사업을 통합한 이후 처음으로 사업 구상을 밝힌 것이다. 이에 따라 H&A 사업본부는 세탁기(세탁기·청소기), 냉장고(냉장고·정수기), 키친패키지(주방가전), 가정용 에어컨, 시스템 에어컨, 컴프레서 모터 사업부 등 6개 사업부 체제를 본격 가동한다.

조 사장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면서 시장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경영에서 핵심 과제가 되고 있다”면서 “두 부문의 역량을 합쳐 시너지를 창출하고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만들자는 것이 통합의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다이렉트 드라이브(DD) 모터(세탁기),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냉장고), 스마트 인버터 모터 및 무선 기술(청소기) 등의 기술기반으로 글로벌 가전 시장을 집중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세탁기 사업에서는 혁신적이란 평가를 받은 ‘트롬 플러스’를 한국, 북미 등 프리미엄 시장 중심으로 조기 출시해 시장의 우위를 이어가기로 했다. 고효율·저소음의 장점을 가진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가 탑재된 ‘더블 매직 스페이스’ 냉장고도 상반기 중 북미 시장에 처음 출시된다. 프리미엄 무선 청소기 ‘코드제로(CordZero)’는 유럽 등으로 확대 출시된다.

조 사장은 “모바일 메신저를 기반으로 가전제품과 채팅하는 스마트홈 서비스 ‘홈챗’이 적용되는 기기와 관련 서비스도 지속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라스베이거스 = 오승훈 기자 oshun@munhwa.com
오승훈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