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의 국회 운영위 출석 거부로 촉발된 ‘항명 파동’의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박 대통령의 사과, 김기춘 비서실장 문책, 특검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고, 새누리당 일각에서도 청와대 인적쇄신론이 불거지는 가운데 김 수석을 해임 조치하지 않은데 대해서도 야당이 ‘미온적 조치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김 수석의 운영위 출석 거부를 야당의 부당한 정치공세를 피하기 위한 개인적 소신에 따른 ‘돌발 행동’으로 규정짓고 오는 12일 박 대통령의 신년회견 입장 표명을 통한 국면 전환을 기대했다.

그러나 새누리당내 친이(친이명박계)계 등 비주류를 중심으로 민정수석 교체를 계기로 청와대 비서실의 전면적인 쇄신 필요성도 고개를 들고 있다. 정병국 의원은 “청와대가 인적쇄신을 하지 않으면 대통령이 더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번 사태를 ‘청와대 기강의 무참한 붕괴’라고 규정짓고 박 대통령의 신년회견 사과 표명, 김 실장의 사퇴, 특검 도입을 촉구하며 공세의 고삐를 죄었다.

서영교 원내대변인은 “문건의 시작, 문건 유출, 문건 관련 회유, 최모 경위의 죽음까지 그 핵심에 민정수석실이 있다. 그런데도 민정수석이 국회에 나오지 않으려 한 것은 무언가 숨기고자 하는게 있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의혹을 제기하며 특검 도입을 촉구했다.

새정치연합은 김 수석이 해임조치가 아니라 면직 처리된데 대해서도 문제삼고 나섰다. 안규백 원내수석부대표는 “어제 국회에서 김 수석에 대해 해임을 건의하겠다고 한 김기춘 실장의 말과도 상치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화종 기자 hiromats@munhwa.com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