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韓銀 총재 외신 간담회 “금리인하효과 좀 더 지켜봐야”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급증세를 보이는 가계 부채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 총재는 또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한 구조개혁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추가적인 금리 인하 필요성과 관련해 “올해 예상되는 경제성장률 3.4%는 잠재성장률에 부합한다”며 “지난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했기 때문에 금융완화 정도가 확대됐고, 금리 인하 효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커져 금융안정 리스크(위험)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 정책은 특정 지표만을 고려해서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도 국내외 경제의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4%로 하향 조정한 것과 관련해서는 “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전망한 것은 아니다”며 “분기별로 보면 성장률은 1% 내외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경제는 최근 고령화로 중장기성장잠재력이 저해되고 있다”며 “경제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조개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구조개혁은 경기회복에 저해되는 것이 아니라 비효율적인 요소를 제거해 경제활력을 높이는 과제”라며 “모든 경제 주체가 적극적으로 구조개혁에 동참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구조개혁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중앙은행이 어떤 역할을 할지 고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디플레이션(장기적인 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우려에 대해 “국제유가 하락으로 가까운 시일 내에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기는 어렵다고 본다”면서도 유가 하락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물가 내림세 가속화와 신흥국 및 러시아의 경제위기 등과 같은 부정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그는 “내년부터 적용할 물가안정목표를 위해 우리 경제환경 변화를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석 기자 suk@munhwa.com

관련기사

김석

김석 기자

문화일보 /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