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23권 첫 시도동북아역사재단이 8년 만에 ‘중국 정사 외국전 역주’(사진) 시리즈를 전 23권으로 완간했다. ‘중국 정사 외국전 역주’는 중국 왕조가 펴낸 공식 역사서에서 외국 혹은 인근 민족에 관한 기록인 ‘외국전(外國傳)’을 뽑아 번역하고 주석을 단 것이다. 역대 중국 왕조가 정사(正史)를 편찬한 목적은 원칙적으로 국가권력으로 역사인식을 통일하려는 데 있었다. 이 때문에 정사의 체제나 내용도 중국 왕조의 시각이 강하게 반영될 수밖에 없었으며, 특히 외국이나 다른 민족에 관한 부분은 철저하게 중국 왕조의 눈으로 정리돼 있다. 이번 시리즈를 위해 한나라 시대 사마천이 쓴 ‘사기’부터 청나라 때 펴낸 ‘명사’에 이르기까지 총 22종을 참고했으며, 다루고 있는 ‘외국’만 해도 일본, 오키나와, 대만, 필리핀 등 해양 지역은 물론, ‘서역’이라 불린 투르키스탄, 티베트, 이란, 아라비아에 이르는 중앙아시아 지역과 몽골 등 북방지역을 아우르고 있다.
김유철 연세대 사학과 교수, 하원수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등 20명이 넘는 전문가들이 중국 정사의 해제, 교열, 역주를 맡았다.
최현미 기자 chm@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