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로부터 두루미(천연기념물 제202호, 멸종위기종 1급)는 장수를 기원하고, 부부애를 과시하는 상징으로 신년 인사의 상징동물로 등장하던 단골손님이었다. 옛 선비들은 고아한 학을 숭상해, 조선조 당상관 이상의 관복에는 두루미(단정학)가 그려진 흉배(胸背)를 착용했다. 선계에서 내려온 신성한 새로 여기며 귀한 존재로 대접해 온 것이다.
두루미는 한번 짝을 맺으면 부부가 평생 해로하고, 늘 가족 단위로 움직인다. 양 날개를 편 길이가 240㎝에 이르는 대형 조류로 양 날개의 균형을 활용, 기류를 타고 먼 여행을 한다. 러시아, 중국의 경계를 이루는 아무르강 유역의 습지에서 번식하며, 우리나라에는 11월 말에 찾아와 이듬해 3월 초 고향으로 떠나는 겨울 철새이다.
김연수 선임기자 nysk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