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북 비판·광주 보선 비상… 野 지지율 4주만에 20%대 文, 경제 행보로 정면돌파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취임 한 달을 지나면서 안팎의 악재에 직면하는 등 시험대에 올랐다.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테러 사건 이후 새누리당 등 보수층의 ‘종북 숙주론’ 비판은 더욱 거세졌고,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의 탈당과 무소속 출마 선언은 4·29 보궐선거를 더욱 힘들게 만들었다. 지난 2월 대표 선출 이후 급상승했던 차기 대선 후보 지지도와 당 지지율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문 대표는 소득 주도 성장 등 경제 행보 강화를 통해 현 위기를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지난 5일 발생한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 사건은 새정치연합에 뜻밖의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사건 발생 직후 문 대표는 “테러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밝히고, 8일 직접 병문안까지 하면서 적극적으로 대처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에서 새정치연합의 책임론을 들고 나오고 이 사건을 계기로 보수층이 결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새정치연합으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10일 “여당의 무분별한 종북몰이는 지양해야 할 구태”라며 “4월 보궐선거를 앞두고 여당 지지층을 결집시키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천 전 장관의 탈당도 부담되는 지점이다. 당 관계자들은 “광주의 민도를 믿는다”고 하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익명을 요청한 3선 의원은 “우리 당 후보와 천 전 장관을 놓고 조사를 하면 우리 당 조사에서도 뒤지는 것으로 나온다”고 말했다.
대표 취임 후 한 달가량 시간이 흐르면서 ‘컨벤션 효과’도 점차 사라지고 있는 분위기다. 리얼미터 조사 기준으로 새정치연합은 2월 3주차에 새누리당을 불과 0.9%포인트 차이로 추격했다. 하지만 3월 1주차에는 당 지지율이 28.1%를 기록, 4주 만에 다시 20%대로 내려앉았고, 새누리당과의 격차는 9.2%포인트로 벌어졌다. 문 대표는 ‘유능한 경제 정당’ 모토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문 대표는 이날 민주정책연구원에서 열린 ‘경제정책심화과정’ 회의에서 최저임금 인상 문제와 관련 “여야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서로 협의할 필요가 있다”며 여·야·정 회동을 제안했다.
조성진 기자 threemen@munhwa.com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취임 한 달을 지나면서 안팎의 악재에 직면하는 등 시험대에 올랐다.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테러 사건 이후 새누리당 등 보수층의 ‘종북 숙주론’ 비판은 더욱 거세졌고,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의 탈당과 무소속 출마 선언은 4·29 보궐선거를 더욱 힘들게 만들었다. 지난 2월 대표 선출 이후 급상승했던 차기 대선 후보 지지도와 당 지지율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문 대표는 소득 주도 성장 등 경제 행보 강화를 통해 현 위기를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지난 5일 발생한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 사건은 새정치연합에 뜻밖의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사건 발생 직후 문 대표는 “테러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밝히고, 8일 직접 병문안까지 하면서 적극적으로 대처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에서 새정치연합의 책임론을 들고 나오고 이 사건을 계기로 보수층이 결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새정치연합으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10일 “여당의 무분별한 종북몰이는 지양해야 할 구태”라며 “4월 보궐선거를 앞두고 여당 지지층을 결집시키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천 전 장관의 탈당도 부담되는 지점이다. 당 관계자들은 “광주의 민도를 믿는다”고 하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익명을 요청한 3선 의원은 “우리 당 후보와 천 전 장관을 놓고 조사를 하면 우리 당 조사에서도 뒤지는 것으로 나온다”고 말했다.
대표 취임 후 한 달가량 시간이 흐르면서 ‘컨벤션 효과’도 점차 사라지고 있는 분위기다. 리얼미터 조사 기준으로 새정치연합은 2월 3주차에 새누리당을 불과 0.9%포인트 차이로 추격했다. 하지만 3월 1주차에는 당 지지율이 28.1%를 기록, 4주 만에 다시 20%대로 내려앉았고, 새누리당과의 격차는 9.2%포인트로 벌어졌다. 문 대표는 ‘유능한 경제 정당’ 모토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문 대표는 이날 민주정책연구원에서 열린 ‘경제정책심화과정’ 회의에서 최저임금 인상 문제와 관련 “여야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서로 협의할 필요가 있다”며 여·야·정 회동을 제안했다.
조성진 기자 threeme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