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철도경영 노하우가 이집트에 전수된다. 코트라는 한국철도시설공단과 공동으로 9일부터 3일간 일정으로 이집트의 와르단 철도연수원 및 철도청(ENR)에서 ‘철도학교’ 운영에 들어갔다고 10일 밝혔다.
올해 2회째인 철도학교는 이집트의 철도 운영 역량을 높여 현지 사회에 공헌하면서 국내 기업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수업에는 이집트 교통부와 철도청의 엔지니어 50여 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수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철도 운영 노하우를 전수받는다. 교육은 철도경쟁력(경영관리), 신호경영, 궤도경영 등 3분야로 구성됐다.
앞서 9일 이집트 철도청에서 열린 이집트 철도학교 개교식에는 모스타파 마카렘 이집트 철도청 부청장 등이 참가해 현지의 높은 관심을 대변했다.
현재 이집트의 철도는 9570㎞에 달하며 705개의 역사를 운영하고 있다. 연간 5억 명, 화물 600만t을 나르는 주요 운송 수단이다. 김유정 코트라 카이로무역관장은 “이집트 정부는 노후한 철도 신호체계를 개선하고 고속철도를 신규 도입하는 등의 대형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며 “이번 철도학교는 현지 사회에도 기여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철도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높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선호 기자 shpark@munhwa.com
올해 2회째인 철도학교는 이집트의 철도 운영 역량을 높여 현지 사회에 공헌하면서 국내 기업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수업에는 이집트 교통부와 철도청의 엔지니어 50여 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수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철도 운영 노하우를 전수받는다. 교육은 철도경쟁력(경영관리), 신호경영, 궤도경영 등 3분야로 구성됐다.
앞서 9일 이집트 철도청에서 열린 이집트 철도학교 개교식에는 모스타파 마카렘 이집트 철도청 부청장 등이 참가해 현지의 높은 관심을 대변했다.
현재 이집트의 철도는 9570㎞에 달하며 705개의 역사를 운영하고 있다. 연간 5억 명, 화물 600만t을 나르는 주요 운송 수단이다. 김유정 코트라 카이로무역관장은 “이집트 정부는 노후한 철도 신호체계를 개선하고 고속철도를 신규 도입하는 등의 대형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며 “이번 철도학교는 현지 사회에도 기여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철도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높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선호 기자 shpark@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