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국제 금융시장에 따르면 지난 10일 종가 기준 원·달러 환율은 1122.6원을 기록, 3일(1096.4원)과 비교할 경우 1주일 남짓한 기간 2.39% 올랐다. 11일 종가는 10일보다 3.9원 더 오른 1126.5원을 기록했다.
3월 3∼10일 기간 한국 원화의 가치 하락 속도는 일본 엔화(1.82%), 말레이시아 링깃(2.07%), 싱가포르 달러(1.66%), 인도네시아 루피아(0.97%), 태국 밧(0.93%), 대만 달러(0.75%) 등 다른 아시아 국가 통화보다 훨씬 가팔랐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말 1099.1원과 비교하면 2.14% 올랐다. 올 들어 석 달 남짓한 기간의 상승 폭보다 최근 1주일 남짓한 기간의 상승 폭이 더 컸다는 뜻이다.
최근의 원·달러 환율 상승은 전 세계적인 미 달러화 강세 현상의 영향이 크다. 미국의 고용지표 호조로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시점이 오는 6월로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최근 미 달러화 가치가 빠른 속도로 치솟고 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과 일본의 양적완화 기조도 미 달러화 가치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최근 국내 경기 지표가 급속도로 나빠지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시장의 기대 심리도 원·달러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 달러화 가치의 상승 현상은 미국 경제의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 달러화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높아질 경우 미 달러화 부채가 많은 신흥국 중의 일부가 경제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 달러화 가치의 상승, 즉 우리나라 원화 가치의 하락은 국내 수출 기업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원화의 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질 경우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국내 금융시장에서 해외 자금이 급격하게 유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신흥국이 위기 상황에 빠지면 악영향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조해동 기자 haedong@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