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 거치며 음모론 절정… ‘연평도’ 후에야 “北소행” 여론커져 전문가들은 지난 5년 동안 천안함 폭침을 둘러싼 근거 없는 의혹이 증폭됐던 과정을 ‘천안함의 정치화·이념화’ 현상에서 찾는다. 선거와 정치가 안보 이슈를 어떻게 굴절시키는지 잘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2010년 3월 26일 사건 발생 2개월 뒤인 5월 20일 천안함 폭침 사건 결과보고 발표 이후부터 6·2 지방선거일까지 10여 일 동안 인터넷에는 각종 의혹이 출현하는 빈도가 절정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아무리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라고 알려도 정부의 말을 잘 믿지 않던 일부 국민들이 같은 해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을 보면서 그제야 북한의 실체를 새삼 확인하게 됐다.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실시한 각종 여론조사 결과 천안함 사건이 북한 소행이라고 믿는 비율이 70∼80%대까지 올라간 사실이 이를 입증하는 증거 중 하나로 분석됐다.

이명박정부에서 천안함 대응 실무 태스크포스(TF) 책임을 맡았던 이종헌 전 청와대 행정관은 20일 문화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내용을 강조하며 “당시 지방선거를 앞두고 돌출된 천안함 변수에 대해 정치권은 사태의 진실을 보려 하기보다는 정치적 이해라는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게 됐다”고 지적했다.

정충신 기자 csjung@munhwa.com

관련기사

정충신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