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동 금융감독원에서 서태종 수석부원장이 민생 침해 5대 금융악 척결 특별대책 추진 등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동 금융감독원에서 서태종 수석부원장이 민생 침해 5대 금융악 척결 특별대책 추진 등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①금융사기 ②꺾기 ③보험사기 ④불법 사금융 ⑤불법 채권추심선임 국실장 참여 대책단 신설… 이달중 범 금융권 협의체 출범

금융감독원이 ‘민생 침해 5대 금융악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8일 금융감독기관 전체 차원의 ‘특별대책반’을 출범시키고, 범 금융권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4월 중 띄우는 등 금융감독 역량을 총 결집한다. (문화일보 4월 6일자 4면 참조)

이날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금융사기와 불법 사금융, 불법 채권추심, 꺾기(대출금 일부를 예금으로 돌리게 하는 행위), 보험사기 등을 금융악으로 규정, 이를 척결하는 데 총력을 쏟기로 했다.

특히 동향 분석과 대책 수립, 관계 기관과의 공조 등을 전담하는 지휘부인 ‘민생침해 5대 금융악 척결 특별대책단’을 이날 신설했다.

서태종 수석부원장이 단장을 맡고 서민금융지원국·금융혁신국·정보기술금융정보보호단·보험조사국·분쟁조정국·대부업검사실·여신전문검사실의 선임국장과 실장이 모두 참가한다.

금감원은 또 ‘민생침해 5대 금융악 척결 범 금융권 협의체’를 이달 중 출범시킬 예정이다. 각 협회장이 참여하고 협회마다 산하에 협의체를 신설토록 해 금융권 전체가 금융악과의 전쟁에 뛰어들도록 독려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이달 중 대포통장 근절 추가 대책, 고금리 수취 대부업체 단속 강화, 불법 채권추심 테마 검사, 보험사기 인지 시스템 개선 등 분야별 세부대책을 차례로 발표한다.

또 국민 누구나가 쉽고 빠르게 신고할 수 있는 ‘5대 금융악 신문고’도 설치한다. 이를 위해 대표 금융상담 자동응답전화(ARS) ‘1332’에 ‘5대 금융악’ 메뉴를 0번으로 달고 분야별 전문가와 대응반을 바로 연결토록 할 예정이다.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금감원이 운영하고 있는 ‘금융소비자경보 발령 제도’를 전면 개편하고 기존 ‘개인정보 불법유통 시민감시단’(50명)을 ‘5대 금융악 시민감시단’(200명)으로 확대·재편키로 했다.

서 수석부원장은 “민생침해 5대 금융악은 서민 등 취약 계층에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금융 폐해”라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해 왔으나 최근 들어 범죄 수법이 더욱 교묘해지는 등 불법·부당 행위가 여전히 성행해 이를 척결할 특별대책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관범 기자 frog72@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