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용(앞줄 오른쪽) 국민안전처 장관과 유기준(〃 왼쪽) 해양수산부 장관이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세월호 선체 인양과 관련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박인용(앞줄 오른쪽) 국민안전처 장관과 유기준(〃 왼쪽) 해양수산부 장관이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세월호 선체 인양과 관련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고난도 인양… 난제 수두룩정부가 22일 세월호 선체 인양 방침을 공식 발표했지만, 실제 인양까지는 난관이 수두룩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선 세계적으로 맹골수도처럼 유속이 빠른 해역에서 세월호 규모의 여객선을 수중에서 통째로 인양한 사례가 없다. 특히 세월호와 같은 대형 선박의 측면에 구멍을 내 와이어로 연결, 대형 해상 크레인으로 들어 수중에서 ‘플로팅 독(Floating Dock)’ 위로 선체를 올리는 방식이 적용된 적이 없기 때문에 실제 인양과정에서 예측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 선체의 중량이 수중에서는 8400t이지만, 수면 위로 끌어올릴 경우 1만200t에 달할 것으로 추정돼 두 대의 해상 크레인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선체의 무게중심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두 대의 해상 크레인이 사용되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할 경우 예기치 않은 상황에 직면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가 침몰하는 과정에서 화물의 이동 등으로 무게중심이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무게중심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부도 세월호 인양 과정에서 심각한 기술적 실패가 발생할 경우 기간은 1년 6개월 이상 걸리고, 비용도 2000억 원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 세월호 선체처리 기술검토 태스크포스(TF)는 “경험과 기술이 풍부한 인양업체가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통해 위험 및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해동 기자 haedong@munhwa.com

관련기사

조해동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