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 스포츠 대회 적극 유치
요트대여 업체 등 창업 지원
수역 점용·사용료 감면 확대
정부는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앞두고 마리나를 스키장 수준으로 대중화해 국민들의 새로운 여가생활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가 7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내놓은 ‘마리나 산업 전략적 육성대책’은 인프라 확충, 관광 대중화, 레저선박 제조업 경쟁력 강화로 요약할 수 있다. 지난 2013년 기준 전 세계 레저선박은 2900만 척으로 최근 들어 24m 이상 호화요트인 슈퍼요트, 대형 거점 마리나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레저선박 수가 1만2985척으로 전년대비 27% 증가했고 지난해 신규 조정면허 취득자 수는 1만3422명으로 연 10%대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세계적으로 마리나는 2만3000개로 아시아의 경우 일본이 570개고 중국이 89개나 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32개에 불과하다.
정부는 우선 마리나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했다.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 낮은 인지도 등으로 인해 사업성이 불투명하고 사업모델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마리나를 단순히 요트가 머무는 장소가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들 방침이다. 회원 수 4000명으로 270여 척 규모의 수상계류시설, 숙박시설, 피트니스시설을 보유한 싱가포르의 ‘ONE °15’나 400여 개 기업을 유치해 4500여 명의 고용 및 7억 달러 이상의 지역 경제 효과를 창출한 호주의 ‘골드 코스트 시티’가 예다.
정부는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고 1조 원 이상 투자유치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마리나 항만 수역의 점·사용료 감면을 확대하고 마리나 항만 구역에 대한 국유지 임대기간도 5년에서 20년으로 늘려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마리나 관광 활성화와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볼거리를 마련키로 하고 서핑·스킨스쿠버 등 각종 해양레저스포츠대회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예정이다.
요트 대여업이나 선박 보관업을 하는 마리나 서비스업체 100개 창업을 목표로 각종 지원책을 펼치고 마리나 서비스업 대상 선박 기준을 현행 5t 이상에서 2t 이상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