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中 등과 추진위 출범 朴, 주한 외교사절 초청 외교·안보현안 협력 당부
정부가 중국·대만·네덜란드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국과 연대,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맞불’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일본이 조선인 5만7900명이 강제징용된 7곳이 포함된 근대산업시설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자 정부는 국제연대를 통해 위안부 기록물 등재로 맞대응하는 전략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7일 주한 외교사절 300여 명을 대거 초청, 이 문제를 포함한 각종 외교·안보 현안에 대한 각국의 협력을 당부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발등에 떨어진 불을 서둘러 끄려는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외교부·여성가족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중국·대만·네덜란드·필리핀 등 위안부 피해국과 협력해 오는 21일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국제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정부는 이르면 내년 3월 유네스코 등재 신청서를 제출, 2017년 6월 등재를 목표로 기록물 목록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등이 수집·정리하고 있는 기록물은 위안부 할머니의 증언 자료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 활동 자료, 재판 자료, 강제성 증명 공문서 등이다. 국제공조에는 한국과 대만은 정부가 주축이며, 중국은 전문가 그룹, 필리핀은 비정부기구(NGO)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저지하기 위한 외교도 집중적으로 펼치고 있다. 정부 고위급 인사를 세계유산위원회 회원국 19개국에 파견, 일본이 등재를 추진하는 근대산업시설에서 강제징용·노동이 자행됐다는 사실을 집중 설명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이날 취임 이후 처음으로 주한 외교사절과 국제기구 대표 300여 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주한 외교단 리셉션을 개최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신보영·오남석 기자 boyoung22@munhwa.com
정부가 중국·대만·네덜란드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국과 연대,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맞불’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일본이 조선인 5만7900명이 강제징용된 7곳이 포함된 근대산업시설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자 정부는 국제연대를 통해 위안부 기록물 등재로 맞대응하는 전략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7일 주한 외교사절 300여 명을 대거 초청, 이 문제를 포함한 각종 외교·안보 현안에 대한 각국의 협력을 당부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발등에 떨어진 불을 서둘러 끄려는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외교부·여성가족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중국·대만·네덜란드·필리핀 등 위안부 피해국과 협력해 오는 21일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국제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정부는 이르면 내년 3월 유네스코 등재 신청서를 제출, 2017년 6월 등재를 목표로 기록물 목록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등이 수집·정리하고 있는 기록물은 위안부 할머니의 증언 자료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 활동 자료, 재판 자료, 강제성 증명 공문서 등이다. 국제공조에는 한국과 대만은 정부가 주축이며, 중국은 전문가 그룹, 필리핀은 비정부기구(NGO)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저지하기 위한 외교도 집중적으로 펼치고 있다. 정부 고위급 인사를 세계유산위원회 회원국 19개국에 파견, 일본이 등재를 추진하는 근대산업시설에서 강제징용·노동이 자행됐다는 사실을 집중 설명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이날 취임 이후 처음으로 주한 외교사절과 국제기구 대표 300여 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주한 외교단 리셉션을 개최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신보영·오남석 기자 boyoung22@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