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엔 ‘6~9월’ 발효 6∼9월에 한정해 운영되던 폭염특보 기간이 확대 운영된다.
기후변화로 더위가 찾아오는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기상청은 6∼9월에 한해 운영하던 폭염특보를 올해부터 연중으로 확대해 운영한다.
2008년 6월부터 시작된 폭염특보는 특보 운영기간을 6∼9월로 설정해 운영해 왔다. 5월 폭염현상 발생 사례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시기가 빨라진 폭염에 대응하기 위해 언제든 폭염특보를 발표할 수 있도록 변경한 것이다.
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 주요 도시(서울, 강릉, 인천, 대구, 부산, 목포)의 평균기온이 지난 100년간(1911∼2010년) 무려 1.8도 상승했다.
2014년의 경우 1∼11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0.8도가량 높게 나타나 1973년 관측 이래 두 번째로 더웠다.
더위가 찾아오는 패턴도 달라졌다. 2014년엔 봄철(3∼5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1.4도가량 높았고, 5월부터 불볕더위가 찾아와 1973년 이후 가장 더운 5월로 기록되기도 했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폭염을 집중호우나 태풍 못지않은 여름철 위험기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면서 “신속하고 정확한 폭염 상황을 전달함으로써 국민 안전과 건강을 도모하기 위해 특보 기간을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다.
고서정 기자 himsgo@munhwa.com
기후변화로 더위가 찾아오는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기상청은 6∼9월에 한해 운영하던 폭염특보를 올해부터 연중으로 확대해 운영한다.
2008년 6월부터 시작된 폭염특보는 특보 운영기간을 6∼9월로 설정해 운영해 왔다. 5월 폭염현상 발생 사례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시기가 빨라진 폭염에 대응하기 위해 언제든 폭염특보를 발표할 수 있도록 변경한 것이다.
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 주요 도시(서울, 강릉, 인천, 대구, 부산, 목포)의 평균기온이 지난 100년간(1911∼2010년) 무려 1.8도 상승했다.
2014년의 경우 1∼11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0.8도가량 높게 나타나 1973년 관측 이래 두 번째로 더웠다.
더위가 찾아오는 패턴도 달라졌다. 2014년엔 봄철(3∼5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1.4도가량 높았고, 5월부터 불볕더위가 찾아와 1973년 이후 가장 더운 5월로 기록되기도 했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폭염을 집중호우나 태풍 못지않은 여름철 위험기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면서 “신속하고 정확한 폭염 상황을 전달함으로써 국민 안전과 건강을 도모하기 위해 특보 기간을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다.
고서정 기자 himsgo@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