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새 요금제 인가 음성 통화 많은 이용자들
한해 최대 7000억 절감돼
모바일인터넷전화 활성화
국제전화 통신비 큰 절감
약정·위약금 부담 사라져
19일 정부가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에 관한 개선법(단통법)’에 이어 SK텔레콤의 ‘데이터중심요금제’를 인가함으로써 이동통신 3사 간 시장경쟁을 통한 가계통신비 인하정책에 본격적인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번 데이터중심요금제 전면 시행을 계기로 국내 통신시장은 기존 음성·유선 중심의 통신서비스에서 모바일·데이터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새로운 모바일 생태계 조성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데이터중심요금제는 정부가 통신사업자 간 경쟁을 촉진시켜 가계통신비를 인하하겠다는 의지 아래 추진해온 ‘제4이동통신’, ‘알뜰폰’을 포함한 3가지 제도 중 하나였다. 당초 2017년까지 도입하는 게 목표였지만 2년 앞당겨 조기에 도입될 수 있도록 올해 초부터 이통사들과 협의해왔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통신소비 패턴이 음성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했으나 통신요금은 여전히 음성중심 체계가 유지돼 왔다”며 “제도 도입 과정에서 누구나 음성통화를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사실상 보편적 서비스화하는 한편,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경제·문화·사회적 편익을 누리는 데 있어 데이터 요금이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이번 데이터중심요금제 도입에 혜택을 보게 되는 주 대상층은 300만여 명에 달하는 영업사원, 대리기사, 콜센터 개인상담원, 주부 및 중장년층 등이다. 이들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은 데도 음성통화가 많아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을 물어야 했다.
기존 음성 무제한 요금이 5만1000원에서 2만9900원으로 인하되면, 이들 음성 위주 이용자들의 통신비가 연간 최대 7000억 원가량 절감될 것으로 추정된다.
약정과 위약금 부담도 없어진다. 이통 3사가 앞으로 모든 새로운 요금제에 약정과 위약금 없는 요금체계를 전면 도입하기로 함에 따라 무약정 가입자 233만 명에게 연간 3600억 원의 통신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에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 전면 허용으로 그동안 국제전화를 많이 써야 했던 이들의 통신비 부담도 크게 덜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요금구간마다 사용량에 제한돼 있던 모바일인터넷전화를 주어진 데이터 제공량 범위 내에서 모두 사용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외 유학 중인 자녀와 통화를 많이 하는 부모 등이 비싼 국제전화 대신 모바일인터넷전화로 대체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데이터중심요금제가 방송 등 콘텐츠 사업의 혁신과 함께 사물인터넷(IoT) 융합 신산업, 원격진료 및 교육 등 산업 재편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통신사들도 이번 데이터중심요금제를 기반으로 한 ‘탈(脫) 통신서비스’ 개발에 주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박양수 기자 yspark@munhwa.com
한해 최대 7000억 절감돼
모바일인터넷전화 활성화
국제전화 통신비 큰 절감
약정·위약금 부담 사라져
19일 정부가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에 관한 개선법(단통법)’에 이어 SK텔레콤의 ‘데이터중심요금제’를 인가함으로써 이동통신 3사 간 시장경쟁을 통한 가계통신비 인하정책에 본격적인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번 데이터중심요금제 전면 시행을 계기로 국내 통신시장은 기존 음성·유선 중심의 통신서비스에서 모바일·데이터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새로운 모바일 생태계 조성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데이터중심요금제는 정부가 통신사업자 간 경쟁을 촉진시켜 가계통신비를 인하하겠다는 의지 아래 추진해온 ‘제4이동통신’, ‘알뜰폰’을 포함한 3가지 제도 중 하나였다. 당초 2017년까지 도입하는 게 목표였지만 2년 앞당겨 조기에 도입될 수 있도록 올해 초부터 이통사들과 협의해왔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통신소비 패턴이 음성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했으나 통신요금은 여전히 음성중심 체계가 유지돼 왔다”며 “제도 도입 과정에서 누구나 음성통화를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사실상 보편적 서비스화하는 한편,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경제·문화·사회적 편익을 누리는 데 있어 데이터 요금이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이번 데이터중심요금제 도입에 혜택을 보게 되는 주 대상층은 300만여 명에 달하는 영업사원, 대리기사, 콜센터 개인상담원, 주부 및 중장년층 등이다. 이들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은 데도 음성통화가 많아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을 물어야 했다.
기존 음성 무제한 요금이 5만1000원에서 2만9900원으로 인하되면, 이들 음성 위주 이용자들의 통신비가 연간 최대 7000억 원가량 절감될 것으로 추정된다.
약정과 위약금 부담도 없어진다. 이통 3사가 앞으로 모든 새로운 요금제에 약정과 위약금 없는 요금체계를 전면 도입하기로 함에 따라 무약정 가입자 233만 명에게 연간 3600억 원의 통신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에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 전면 허용으로 그동안 국제전화를 많이 써야 했던 이들의 통신비 부담도 크게 덜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요금구간마다 사용량에 제한돼 있던 모바일인터넷전화를 주어진 데이터 제공량 범위 내에서 모두 사용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외 유학 중인 자녀와 통화를 많이 하는 부모 등이 비싼 국제전화 대신 모바일인터넷전화로 대체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데이터중심요금제가 방송 등 콘텐츠 사업의 혁신과 함께 사물인터넷(IoT) 융합 신산업, 원격진료 및 교육 등 산업 재편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통신사들도 이번 데이터중심요금제를 기반으로 한 ‘탈(脫) 통신서비스’ 개발에 주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박양수 기자 yspark@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