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방역망에 허점을 노출시키며 중국으로 넘어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자 H(44) 씨가 1차 조사에서 메르스 감염자로 확인됐다.
또 국내에서 감염자가 추가로 2명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메르스 감염자는 총 10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H 씨는 메르스 의심 증세 상태에서 격리되지 않고 10일가량 활동해 일반인에게 확산되는 3차 감염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국내 중심의 감염병 관리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해외감염병 중심으로 정책 전환을 주문했다.
◇감염자 또 추가 = 보건복지부는 중국 보건당국이 H 씨에 대해 1차 유전자 검사 결과 메르스 감염 확인 사실을 전해왔다고 29일 밝혔다. 또 국내에서 격리관찰 중이던 환자 2명이 추가로 감염됐다. 또 H 씨의 감염 사실이 확인되면 총 감염자가 10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현재 베이징(北京)에서 최종 확인 과정을 진행 중이지만 확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H 씨의 감염 사실이 확인되면서 3차 감염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H 씨는 지난 16일 최초 감염자 A(68) 씨와 4시간가량 접촉한 뒤에 19일 발열 증세가 나타났지만 정부가 이를 파악한 것은 8일이 지난 27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H 씨는 직장생활을 하고, 지난 26일 홍콩을 경유해 중국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장소에서 일반인과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질병관리본부장이 운영하던 메르스 방역대책본부를 복지부 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 메르스 관리 대책본부로 격상시키고,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점검키로 했다.
◇방역 시스템 한계 = 정부가 메르스 대응 과정에서 드러낸 문제점은 예견된 사고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A 씨의 밀접접촉자를 격리 관찰하는 과정에서 ‘38도 이상의 고열이 있을 경우’로 지나치게 엄격한 기준을 고집해 감염 의심자를 격리 입원시키지 않고 돌려보내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이는 중동의 일부 환자 중에는 발열 없이 구토와 설사 증상만 보인 사례를 간과한 것으로, 최신 질병 정보를 파악했다면 방지할 수 있었다.
또 밀접 접촉자를 분류하는 과정에서도 H 씨와 같이 접촉자가 누락돼 조사과정에 문제를 드러냈고, 또 H 씨와 그를 진료했던 의사가 감염의심 사실을 신고하지 않거나 지연 신고한 점도 감염병 대처에 대한 안내 및 홍보 부족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는 현재 방역당국 규모로는 해결이 쉽지 않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의 전체 직원은 70명, 이중 역학조사를 담당하는 역학조사과는 12명에 불과하다. 메르스 감염증세에 대한 최신 사례 파악은커녕, 64명의 메르스 밀접접촉자도 정밀 조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해외감염병 관련 인원만 1600명이 넘는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와 대비된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또 국내에서 감염자가 추가로 2명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메르스 감염자는 총 10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H 씨는 메르스 의심 증세 상태에서 격리되지 않고 10일가량 활동해 일반인에게 확산되는 3차 감염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국내 중심의 감염병 관리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해외감염병 중심으로 정책 전환을 주문했다.
◇감염자 또 추가 = 보건복지부는 중국 보건당국이 H 씨에 대해 1차 유전자 검사 결과 메르스 감염 확인 사실을 전해왔다고 29일 밝혔다. 또 국내에서 격리관찰 중이던 환자 2명이 추가로 감염됐다. 또 H 씨의 감염 사실이 확인되면 총 감염자가 10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현재 베이징(北京)에서 최종 확인 과정을 진행 중이지만 확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H 씨의 감염 사실이 확인되면서 3차 감염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H 씨는 지난 16일 최초 감염자 A(68) 씨와 4시간가량 접촉한 뒤에 19일 발열 증세가 나타났지만 정부가 이를 파악한 것은 8일이 지난 27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H 씨는 직장생활을 하고, 지난 26일 홍콩을 경유해 중국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장소에서 일반인과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질병관리본부장이 운영하던 메르스 방역대책본부를 복지부 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 메르스 관리 대책본부로 격상시키고,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점검키로 했다.
◇방역 시스템 한계 = 정부가 메르스 대응 과정에서 드러낸 문제점은 예견된 사고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A 씨의 밀접접촉자를 격리 관찰하는 과정에서 ‘38도 이상의 고열이 있을 경우’로 지나치게 엄격한 기준을 고집해 감염 의심자를 격리 입원시키지 않고 돌려보내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이는 중동의 일부 환자 중에는 발열 없이 구토와 설사 증상만 보인 사례를 간과한 것으로, 최신 질병 정보를 파악했다면 방지할 수 있었다.
또 밀접 접촉자를 분류하는 과정에서도 H 씨와 같이 접촉자가 누락돼 조사과정에 문제를 드러냈고, 또 H 씨와 그를 진료했던 의사가 감염의심 사실을 신고하지 않거나 지연 신고한 점도 감염병 대처에 대한 안내 및 홍보 부족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는 현재 방역당국 규모로는 해결이 쉽지 않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의 전체 직원은 70명, 이중 역학조사를 담당하는 역학조사과는 12명에 불과하다. 메르스 감염증세에 대한 최신 사례 파악은커녕, 64명의 메르스 밀접접촉자도 정밀 조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해외감염병 관련 인원만 1600명이 넘는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와 대비된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