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병원명단 공개안하자 미확인 정보 SNS 급속 확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또는 의심 환자가 다녀간 병원 명단을 게시한 강원 춘천시의 A 병원에 대해 명단에 포함됐던 B 병원이 허위 사실 유포 혐의로 법적 대응 방침을 밝히는 등 메르스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 당국이 메르스 관련 병원 명단 공개에 부정적인 입장인 가운데, 시민들은 해당 병원이 어딘지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퍼나르고 있어 명단 비공개 방침에 따른 피해 사례가 더 나올 가능성도 높다.
지난 2일 메르스 발병 지역 2곳과 메르스 환자가 다녀간 병원 7곳의 명단이 담긴 사진이 SNS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이 사진은 지난 5월 31일 오후 메르스 감염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A 병원이 응급실에 붙여놓은 문진표를 병원 방문객이 휴대전화로 촬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진표에는 다른 병원 이름을 나열한 뒤 방문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이 포함돼 있다. 병원 측은 1시간도 안 돼 문진표를 뗐지만, 명단 확산은 짧은 시간 안에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메르스 감염 공포가 커지면서 명단에 포함된 병원에는 문의전화가 폭주했고, 진료 예약을 취소하거나 수술을 취소하겠다는 요구가 이어졌다. B 병원은 2일 “의심환자가 방문했으나 음성판정이 나왔고, 응급조치도 모범적으로 했다”며 “허위사실을 유포한 A 병원에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가 메르스 환자 발병 지역과 다녀간 병원 등을 비공개하는 것이 불확실한 정보의 양산을 부추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병원들이 메르스 환자 수용을 거부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김영주 기자 everywhere@munhwa.com
지난 2일 메르스 발병 지역 2곳과 메르스 환자가 다녀간 병원 7곳의 명단이 담긴 사진이 SNS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이 사진은 지난 5월 31일 오후 메르스 감염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A 병원이 응급실에 붙여놓은 문진표를 병원 방문객이 휴대전화로 촬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진표에는 다른 병원 이름을 나열한 뒤 방문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이 포함돼 있다. 병원 측은 1시간도 안 돼 문진표를 뗐지만, 명단 확산은 짧은 시간 안에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메르스 감염 공포가 커지면서 명단에 포함된 병원에는 문의전화가 폭주했고, 진료 예약을 취소하거나 수술을 취소하겠다는 요구가 이어졌다. B 병원은 2일 “의심환자가 방문했으나 음성판정이 나왔고, 응급조치도 모범적으로 했다”며 “허위사실을 유포한 A 병원에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가 메르스 환자 발병 지역과 다녀간 병원 등을 비공개하는 것이 불확실한 정보의 양산을 부추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병원들이 메르스 환자 수용을 거부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김영주 기자 everywher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