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중진회의 파열음 3일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는 국회법 개정안 합의와 관련한 유승민 원내대표의 책임론을 둘러싸고 극명하게 입장이 갈렸다.

김무성 대표 등 당지도부는 당내 화합을 강조했지만 친이(친이명박)계 등 비주류 중심의 중진의원들은 전날 사퇴 요구까지 받은 유 원내대표를 적극 옹호한 반면, 친박(친박근혜) 성향의 최고위원들은 국회법 개정안의 위헌성을 지적하며 유 원내대표를 재차 곤혹스럽게 만들었다.

이날 첫 ‘마이크’를 잡은 김무성 대표는 이 같은 분열을 예상한 듯, 당내 화합을 강조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김 대표는 “원내지도부는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주어진 악조건에서 최선을 다했고, 이제는 우리 새누리당이 모두 같이 고민해야 할 문제”라면서 “갈등과 대립을 암시하는 듯한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 친박, 비박은 없고 오직 우리만 있다. 지금은 당이 하나가 되는 모습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유 원내대표는 국회법 개정안 논란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은 채 “당·정·청은 메르스 문제를 ‘국가 비상사태’로 규정하고, 이 사태 해결에 모든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곧이어 발언 기회를 가진 이재오·정병국 의원 등 친이계 중진들은 청와대의 압박으로 난처한 상황에 처한 유 원내대표를 감쌌다.

특히 친이 좌장인 이재오 의원은 “최근 청와대가 하는 일을 보면 정부가 생각이 있는지…”라는 말로 청와대를 직접 겨냥했다. 이 의원은 “(메르스 사태로)환자가 죽어가고 늘어가는데 청와대가 정쟁 발언을 하고 있다”며 “(청와대가) 싸우다가도 즉각 중단하고 메르스부터 해결하자고 해야지, 연일 당정협의를 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게 정부의 모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유 원내대표에 대해선 “공무원연금개혁법안을 기한 내 처리한 것은 참 수고했다, 잘했다고 하고, 서운한 것은 조용히 불러서 얘기해야 한다”면서 “우리 정치 수준이 이렇다. 유 원내대표가 야당의 요구를 많이 잘랐다”고 평가했다.

정병국 의원도 “국회법 개정안이 문제가 있었다면, 국회의원 모두의 책임이지 유승민 원내대표 혼자의 책임인가. 최고위에서 책임공방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면서 지원사격을 했다.

하지만 최고위원들도 중진의원들의 기세에 눌리지 않았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여러 협의 과정에서 올바른 정보가 공유되지 못했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를 삼을 수 있다”면서 “국회법 개정을 통해 야당은 정략적으로 공격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순진했고 야당은 이미 의중을 드러낸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인제 최고위원 역시 “사태의 본질은 당·청 관계다. 대통령과 여당은 공동운명체다”라는 말로 당·청 갈등을 일으킨 당 지도부의 책임론을 꺼내 들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입’이었던 이정현 최고위원도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문제가) 헌법의 근간을 흔드는 문제라면 더 논의를 해서 심각한 상황이 되기 전에 바로 잡는 것이 맞다”고 제시했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김만용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