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발표 앞두고 통계 점검 여행·관광·유통업 직격탄에
내수변화 심해 분석에 한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우리 경제 회복의 최대 복병으로 떠오르면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내놔야 하는 정부의 고민을 깊게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등 경제부처는 일단 오는 30일을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 발표 시점으로 잡아둔 채 신용카드 사용량, 영화관 관람객, 골프장 이용객, 백화점 소매판매 등 각종 통계치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메르스 사태 이후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고 있고, 사람 밀집지역 기피 현상이 나타나는 등 여행·관광·유통업계가 이미 직격탄을 맞고 있어 정부가 노심초사하고 있다.

9일 정부에 따르면 기재부는 메르스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난해 세월호 침몰 이후 상황과 비교해 매일 분석하고 있다. 정부는 세월호 침몰 이후 소매판매량, 전력 사용량, 교통량 등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점검했는데 이번 메르스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당시와 비교해 살펴보고 있다.

수출 부진에 내수 회복세도 공고하지 못한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메르스 사태가 악화, 내수에 치명타를 입힐 경우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 대응방안을 포함해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대폭 수정해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메르스 사태가 얼마나 지속할지, 내수에 얼마만큼의 변화가 있을지 단시간 내에 분석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고민스러운 대목이다. 정부가 추경 편성 여부를 확정 짓지 못하고 있는 것도 메르스 사태로 인한 지표가 곧바로 나오기 어려운 탓도 크다. 기재부 관계자는 “추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치가 이른 시일 내에 나오지 않는 데다 추경으로 확보한 돈을 어디에 쓸지도 봐야 하므로 추경을 편성한다고 해도 물리적으로 7월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 등 경기 부양을 위한 각종 대책의 큰 틀은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통해 발표하고 세부 방안은 대통령 주재 무역투자진흥회의 등을 통해 별도로 내놓겠다는 방침만 정한 채 추이를 살피고 있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박수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