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우진(사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3일 문화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금 같은 저성장 국면 속에서 국내 금융사가 4% 정도의 임금 상승분을 지속해서 유지하면, 비용 부담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고 전제하고 “임금체계 개편을 통해 비용 체계를 선진국형으로 개편해야 해외 금융사와 경쟁할 수 있고, 비이자수익을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금융사들의 호봉제 임금 체계는 성장 국면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저성장 국면에서는 큰 부담이 된다”면서 “임금 체계를 개편해 직무별로 채용한다거나 호봉제를 최대한 줄이는 방안 등을 마련, 비용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같은 선진국형 이익체계는 금융사의 상황이 안 좋을 때는 ‘안전판’ 역할을, 반대로 회사의 실적이 좋을 때는 이익을 모두 공유해 회사와 직원 모두 ‘윈윈(win win)’할 수 있게 한다”고 덧붙였다.
예대차익 위주의 금융사들 영업 형태에 대해서 김 선임연구위원은 ‘강점’은 살려 돈을 벌고, 벌어들인 돈에 대해 ‘현명한 배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예대차익을 통해 벌어들인 돈을 비이자 수익 확대 및 인프라 투자에 배분을 잘하는 게 중요하다”며 “비이자수익을 어떻게 늘리고, 직원 및 인프라, 서비스 개발 등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기술금융 확대 등을 통한 은행의 새로운 먹거리 찾기·개혁 움직임 등에 대해서는 “금융사들이 차별화를 통한 체질개선에 나서는 점은 바람직하다”면서 “다만, 차별화는 규제가 ‘네거티브’(금지사항만 규정하고 나머지는 자율에 맡기는) 시스템일 때 가능한데 한국 금융 규제는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파저티브’(이행 사항을 일일이 규정하는) 규제 제도를 전면 손질하고 금융회사의 새로운 수익원 창출 능력, 소비자의 분별력 등을 보완해야 차별화된 서비스를 안착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정경 기자 verite@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