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한국인 근무 사실 팸플릿 등에만 표기” 논란 한·일 양국이 조선인 강제징용 시설 7곳이 포함된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 등재 문제를 협의로 해결하자는 데 합의했지만, 세부사항에서는 여전히 입장 차를 드러내고 있다. 한국은 일본 정부가 이 시설에 조선인 징용자를 ‘강제’로 동원한 사실을 명확하게 표기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일본은 방문자용 자료나 홈페이지에 강제성에 대한 표현 대신 모호하게 기술하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23일 확인됐다. 일본은 조선인 징용 사실을 방문자용 팸플릿에 포함시키는 방안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져 향후 한·일 간 협상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일본 교도(共同)통신은 이날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지난 21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의 합의에 입각해 해당 시설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징용에 관한 역사적 경위를 방문자를 상대로 한 설명 자료에 기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팸플릿 등에 포함하는 것도 하나의 선택지”라는 일본 정부 관계자 발언도 보도했다. 요미우리(讀賣) 신문도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을 추진 중인 일부 산업시설에서 전쟁 때 한반도 출신자가 일했다는 점 등을 명시하겠다고 설명하자 윤 장관이 이를 받아들였다”고 보도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일본 언론의 보도는 일본 측 의견이 일방적으로 반영된 것일 뿐”이라며 “역사에 대해서는 절대 양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주 중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일 수석대표 협의나 3차 양자협의에서 징용시설에 직접 강제성을 표기하는 문제가 최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신보영 기자 boyoung22@munhwa.com
신보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