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단은 인천시의사회가 이달 초 두 차례 성명서 등을 통해 “메르스 사태의 본질은 비전문인력(공무원)이 전문가 행세를 하고 전문인력(의사)을 통제하려다 초기 대응에 실패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부터다. 의사회는 한술 더 떠 “보건소장은 공무원의 승진을 위해 존재하는 자리가 아니다”며 ‘보건소장을 의사 면허 가진 자 중에서 임용하도록 한다’고 규정한 지역보건법 시행령을 준수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인천시는 이에 대해 “보건소장은 의료(진료) 분야뿐 아니라 보건행정 업무 경험 등 다양한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오히려 공무원이 적합하다”며 “의사 면허 소지자의 우선 임용 규정은 헌법상 평등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반박했다.
겉으로는 메르스 사태 같은 감염병 확산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치열하게 생산적 논쟁을 벌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인천시 안팎에서는 서구가 4급 서기관이 맡는 보건소장 자리에 의사 출신 의무직 공무원이 아닌 보건직 공무원을 임명하려 하자 지역 의사들이 집단 반발했다, 보건직 공무원들이 자신들의 승진 자리를 빼앗길까 봐 전전긍긍한다는 등 온갖 소문이 나돌고 있다.
인천시와 지역 의사들이 그동안 인천을 메르스 환자가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은 ‘메르스 청정지역’으로 만들었다는 점은 높이 살 만하다. 하지만 아직 메르스 공포가 채 가시지 않은 지금, 자칫 ‘밥그릇 싸움’으로 비칠 수 있는 소모전에 몰두하는 모습이 시민들에게 어떻게 보일지 한 번쯤 생각해 봤으면 한다.
인천 = 이상원 전국부 기자 ysw@munhwa.com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