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부 갈등이 급기야 전 당직자 및 당원들의 집단 탈당 사태로까지 번졌다. 4·29 재·보선 전패(全敗) 이후 ‘혁신을 통한 통합’을 시도했지만 되레 분란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당직자 출신과 당원 100여 명은 9일 탈당을 선언하면서 “문재인 대표가 선거 패배 책임을 지기는커녕 칼자루를 쥐었다”면서 “이런 새정치연합으론 총선과 대선 승리가 무망하다”고 주장했다. 야당 내 비중이 아직 미미하고, 정치적 계산도 복잡해 당장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박지원 의원의 “분당은 상수(常數)” 발언처럼 원심력이 급속히 커지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런 현상의 1차적 원인은 혁신위원회 활동이 신뢰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혁신위는 지도부 총사퇴 요구를 우회하기 위해 문 대표가 내놓은 고육책이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8일 현행 최고위원·사무총장 제도를 폐지하고 5개 본부를 신설키로 하는 등의 파격적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비노(非盧) 측이 “문 대표 권한과 친노(親盧) 패권주의 강화”라고 반발하는 것은 일리가 있다. 최고위원회 폐지안이 결정되는 순간 최고위원들은 ‘정치적 효력 정지’에 빠지고, 문 대표 권한은 커질 가능성이 다분하다. 5개 본부장과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회’ 위원장 임명권 문제도 마찬가지다. 결국 문 대표를 제외한 모든 사람과 제도를 바꿈으로써 문 대표 중심 체제가 강화되는 방향의 혁신인 셈이다.
새정치연합이 다수 국민의 신뢰와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선거에서 패배한 노선, 패배에 책임이 있는 세력부터 혁신해야 한다. ‘노선·세력 혁신’ 없는 ‘제도 혁신’은 국민과 당원에 대한 속임수일 뿐이다. 지금 야당 문제의 본질은 제도가 아닌 사람이기 때문이다. 2012년 총선과 대선, 뒤이은 재·보선에서 연전연패했으면서도 책임을 지지 않는 문 대표와 친노 세력이 일선에서 물러서지 않고는 어떤 혁신도 허구일 수밖에 없다. 당내 역학구도상 이런 노력이 불가능하다면 차라리 분당하고, 선거에서 국민과 지지자들의 선택에 따라 다시 뭉치는 편이 소모적인 무한 내홍(內訌)보다 훨씬 낫다.
이런 현상의 1차적 원인은 혁신위원회 활동이 신뢰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혁신위는 지도부 총사퇴 요구를 우회하기 위해 문 대표가 내놓은 고육책이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8일 현행 최고위원·사무총장 제도를 폐지하고 5개 본부를 신설키로 하는 등의 파격적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비노(非盧) 측이 “문 대표 권한과 친노(親盧) 패권주의 강화”라고 반발하는 것은 일리가 있다. 최고위원회 폐지안이 결정되는 순간 최고위원들은 ‘정치적 효력 정지’에 빠지고, 문 대표 권한은 커질 가능성이 다분하다. 5개 본부장과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회’ 위원장 임명권 문제도 마찬가지다. 결국 문 대표를 제외한 모든 사람과 제도를 바꿈으로써 문 대표 중심 체제가 강화되는 방향의 혁신인 셈이다.
새정치연합이 다수 국민의 신뢰와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선거에서 패배한 노선, 패배에 책임이 있는 세력부터 혁신해야 한다. ‘노선·세력 혁신’ 없는 ‘제도 혁신’은 국민과 당원에 대한 속임수일 뿐이다. 지금 야당 문제의 본질은 제도가 아닌 사람이기 때문이다. 2012년 총선과 대선, 뒤이은 재·보선에서 연전연패했으면서도 책임을 지지 않는 문 대표와 친노 세력이 일선에서 물러서지 않고는 어떤 혁신도 허구일 수밖에 없다. 당내 역학구도상 이런 노력이 불가능하다면 차라리 분당하고, 선거에서 국민과 지지자들의 선택에 따라 다시 뭉치는 편이 소모적인 무한 내홍(內訌)보다 훨씬 낫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