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한방병원 100만여명 분석
2000년부터 30대가 50대 추월
국내 척추질환 환자는 전체적으로 여성환자가 남성보다 많지만 30대와 40대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1990년대까지는 50대 환자가 많았지만 2000년부터는 30대 환자도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생한방병원은 1999년 6월 1일부터 2015년 5월 31일까지 16년간 전국 17개 자생한방병·의원을 방문한 100만1554명의 척추질환 환자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특성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자생한방병원은 최근 한국 기록원으로부터 ‘최다 척추질환 환자 치료’ 인증을 받은 기관이다. 척추질환 환자 100만1554명의 연령별 남녀 데이터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여성환자가 남성보다 많지만 30대와 40대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50대에 가서 여성이 남성환자를 큰 차이로 추월하게 된다.
신준식 자생한방병원 박사는 “30∼40대 남성은 사회적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이기 때문에 무리한 노동이나 과로를 하는 경우가 잦고, 회식이나 술자리 때문에 몸이 망가지는 경우도 많아 척추·관절질환이 유발되는 것”이라며 “또 여성의 경우 50대에 들어서면서 찾아오는 갱년기 호르몬 변화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이나 퇴행성 관절질환의 발생확률이 증가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시대별로 척추질환 환자의 나이를 보면 1990년대까지는 50대 환자가 많지만 2000년을 기점으로 30대 환자의 급격한 상승세가 나타났다.
30대와 50대의 역전현상은 2000년대 초반부터 나타났는데, 이때는 ‘PC와 인터넷의 대중화’가 본격화된 시기다. 즉 잘못된 자세로 PC를 장시간 이용하는 문화 때문에 척추질환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휴대전화 사용인구가 4000만 명을 넘어서는 2006년에는 척추·관절질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아울러 2009년에는 전 연령층에서 척추질환 환자의 수가 약 2배 이상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스마트폰의 도입’으로 책상 앞에서만 가능했던 멀티미디어 활동이 손 안에서 가능하게 돼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고개를 숙이면서 관련 질환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때문에 30대 척추질환 환자는 1999년부터 2014년까지 16년 동안 17배나 증가했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2000년부터 30대가 50대 추월
국내 척추질환 환자는 전체적으로 여성환자가 남성보다 많지만 30대와 40대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1990년대까지는 50대 환자가 많았지만 2000년부터는 30대 환자도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생한방병원은 1999년 6월 1일부터 2015년 5월 31일까지 16년간 전국 17개 자생한방병·의원을 방문한 100만1554명의 척추질환 환자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특성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자생한방병원은 최근 한국 기록원으로부터 ‘최다 척추질환 환자 치료’ 인증을 받은 기관이다. 척추질환 환자 100만1554명의 연령별 남녀 데이터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여성환자가 남성보다 많지만 30대와 40대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50대에 가서 여성이 남성환자를 큰 차이로 추월하게 된다.
신준식 자생한방병원 박사는 “30∼40대 남성은 사회적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이기 때문에 무리한 노동이나 과로를 하는 경우가 잦고, 회식이나 술자리 때문에 몸이 망가지는 경우도 많아 척추·관절질환이 유발되는 것”이라며 “또 여성의 경우 50대에 들어서면서 찾아오는 갱년기 호르몬 변화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이나 퇴행성 관절질환의 발생확률이 증가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시대별로 척추질환 환자의 나이를 보면 1990년대까지는 50대 환자가 많지만 2000년을 기점으로 30대 환자의 급격한 상승세가 나타났다.
30대와 50대의 역전현상은 2000년대 초반부터 나타났는데, 이때는 ‘PC와 인터넷의 대중화’가 본격화된 시기다. 즉 잘못된 자세로 PC를 장시간 이용하는 문화 때문에 척추질환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휴대전화 사용인구가 4000만 명을 넘어서는 2006년에는 척추·관절질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아울러 2009년에는 전 연령층에서 척추질환 환자의 수가 약 2배 이상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스마트폰의 도입’으로 책상 앞에서만 가능했던 멀티미디어 활동이 손 안에서 가능하게 돼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고개를 숙이면서 관련 질환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때문에 30대 척추질환 환자는 1999년부터 2014년까지 16년 동안 17배나 증가했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