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청래 구하기’재재심 결정 파문…“혁신안 현장의 反혁신” ‘野혁신’ 당무위 상정 날 기습 통과에 거센 비판

文, 돌발제안 바로 수용… ‘사전교감 있었나’ 의혹도

윤리심판원 위상 약화… 당기강 확립도 공염불


새정치민주연합이 13일 혁신안 의결을 위해 개최한 당무위원회에서 예정에도 없던 정청래 최고위원 징계 재재심사건을 상정해 통과시키면서 당내 거센 후폭풍이 일고 있다. 문재인 대표가 같은 편을 봐주고 있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면서 ‘반(反)혁신’이라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공갈 막말’ 파문으로 윤리심판원으로부터 징계가 확정됐던 정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수위를 사실상 낮춰 달라는 요구를 받아들인 것이 발단이 됐다.

당무위에 참석했던 한 의원은 14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주요 혁신안 처리는 9월로 미뤄 놓고 당내 분란을 일으킨 의원을 구제하는 안건을 기습적으로 처리한 것”이라며 “윤리심판원의 결정까지 부정하며 동료 의원을 위한 행동만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혁신안이 처음 당무위에 상정된 날 공교롭게도 혁신과는 반대되는 결정만 내렸다는 것이다. 윤리심판원의 위상을 스스로 약화시켰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앞서 새정치연합은 당 기강 확립과 혁신 실천을 내세우며 당 윤리심판위원회를 ‘윤리심판원’으로 격상, 지난 5월 처음 외부 인사를 위원장으로 임명한 바 있다. 안병욱 윤리심판원장은 “당의 화합과 기강을 세우는 데 필요하다면 재심사할 수 있다”면서도 “사전에 어느 정도 공론화되는 분위기를 만들지 못한 것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정 최고위원 징계 재심 결정에 대한 정치적 파장을 고려하지 않고 현장에서 직접 거수로 찬반을 결정했던 문 대표의 리더십에 대해서도 뒷말이 나오고 있다. 예고치 않은 ‘돌발 안건’인 만큼 후순위로 돌리거나 다음 당무위로 넘길 수도 있음에도 융통성을 발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무위에 참석한 한 당직자는 “찬반 손을 든 의원들의 숫자를 제대로 셌는지도 의문”이라며 “당 대표가 상황을 통제하지 못하고 어버버 하다 안건을 처리했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문 대표의 소극적인 태도 때문에 정 최고위원과 사전에 교감이 있었던 것은 아니냐는 의심을 사게 한다”고도 말했다.

이날 당무위에서 혁신위가 내놓은 혁신안의 핵심인 ‘최고위원제 폐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설치’가 상정되지 못하면서 혁신위 미래도 불투명해졌다. ‘첫발’부터 스텝이 꼬이면서 추동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국 혁신위원은 “중앙위가 아닌 전대를 열어 혁신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한 주승용 의원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박하면서 주 의원과 설전을 주고받았다.

윤정아 기자 jayoon@munhwa.com
윤정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