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히데 동참
“입헌주의와 정면 배치돼
더 늦기전에 행동 나서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일본의 군사적 역량 확대, 과거사 왜곡 등 우경화 행보를 가속화하자 일본의 양심 있는 지식인들은 아베 총리의 폭주를 좌시하지 않고 이에 대한 비판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있다.
특히 아베 정권에 대한 비판에는 정치, 사회, 역사, 법학, 이공계 등 분야를 막론한 학자들이 동참하고 있으며, 이는 일본 사회 전체가 아베 정권의 폭주를 경계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21일 일본 언론에 따르면 하루 전 도쿄(東京)에서 열린 ‘안전보장 관련 법안에 반대하는 학자들의 모임’ 기자회견에는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히데(益川敏英) 교토(京都)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각 분야의 학자 15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이들의 모임에는 이날 오전 현재 1만1604명의 지지 학자가 동참하고 있다.
마스카와 명예교수는 이날 “정권의 생각에 따라 전쟁이 가능해지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이야기”라며 “입헌주의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우에노 지즈코(上野千鶴子) 도쿄대 명예교수는 “보통 정치적 행동을 하지 않는 연구자가 참다못해 이렇게 모였다는 것은 획기적인 일”이라며 “더 늦기 전에 행동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아베 정권의 폭주에 대한 비판은 이미 안보법제와 직결된 법학 분야 학자들이 먼저 제기한 바 있다. 일본의 헌법학자 166명은 지난 6월 3일 아베 정권의 안보법제 추진에 대해 “헌법 9조가 규정한 전쟁 포기, 전력 보유 금지, 교전권 부정 체제를 근본적으로 뒤집는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아베 정권의 역사 인식에 대해서도 일본 지식인들은 일찌감치 우려를 제기했다. 일본의 대표적인 지한파 학자인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 등 지식인 281명은 지난 6월 8일 아베 총리의 종전 70년 담화(아베 담화)에 식민지 지배 등에 대한 사죄와 반성을 명확히 표명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한 것이다. 이들은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한·일 관계의 핵심 현안으로 꼽고, 위안부 동원 강제성 인정 및 일본 정부의 배상을 촉구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5월 전 세계 역사학자 456명이 아베 총리의 역사인식을 비판하는 성명에 동참하자 일본의 학자들도 이에 부응한 셈이다.
일본 지식인 사회의 아베 정권 견제는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헌법 해석 변경이 시도된 지난해부터 이미 조짐이 일었다. 마스카와 명예교수 등 각 분야 지식인 60여 명은 지난해 4월 ‘입헌데모크라시 모임’을 발족하고 안보법제에 대한 비판 성명과 기자회견을 이어가고 있다.
박준희 기자 vinkey@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