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의 대기오염 상태를 점검한 결과 미세먼지(PM 10)와 오존(O₃)의 농도가 환경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대기오염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 97개 시·군의 대기오염 물질 오염도를 분석한 ‘2014년 대기환경연보’를 23일 공개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은 다른 지역에 비해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NO₂)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세먼지 농도는 경기(54㎛/㎥), 인천(49㎛/㎥)이 높았다. 미세먼지는 장기간 흡입할 경우 천식이나 폐 질환에 걸릴 수 있다. 마이크로미터(㎛)는 미터(m)의 100만분의 1에 해당한다. 미세먼지 기준인 PM 10은 10㎛다.
 
주로 경유 자동차에서 배출되며 눈과 호흡기를 자극해 기침, 구토 등을 유발하는 이산화질소는 자동차 통행량이 많은 서울(0.033PP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기(0.029), 인천(0.02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기준치는 0.03PPM이다.
 
자동차·화학 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오존은 수도권과 전남, 경남에서 고농도로 발생했다. 오존은 반복 노출되면 폐와 호흡기에 악영향을 준다. 유해 물질인 납과 벤젠은 모두 환경기준치 이내로 파악됐으며, 이산화황(SO₂), 일산화탄소(CO)도 거의 모든 측정소에서 기준을 만족했다.

고서정 기자 himsgo@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