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9월 3일 중국 베이징(北京)의 ‘항일(抗日)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행사 참석을 결정한 것은 불가피한 외교적 선택으로 이해할 만하다. 대북(對北) 영향력이 가장 클 뿐 아니라 한국 수출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상대의 적극적 ‘국익(國益)외교’는 미국 정부의 부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 차원에서, 기념 행사의 핵심을 이루는 열병식도 참관을 거부하거나 회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기념 행사에서 열병식 때만 자리를 뜬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참하는 것보다 못할 개연성이 크다. 기념 행사에 재를 뿌린 것으로 받아들인 중국이 한국에 대한 반감을 키우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은 북한의 남침을 도와 6·25 전쟁에 참전한 일에 대해 대한민국에 사과하긴커녕 ‘정의로운 항미원조(抗美援朝) 전쟁’으로 여전히 호도하고 있다. 당시 국군의 적(敵)이었던 중국의 인민해방군으로부터 박 대통령이 열병식에서 경례를 받거나 박수를 보낼 수는 없다는 지적도 일리가 있는 것이다. 사전 외교를 통해 열병식에서 6·25 참전 부대는 제외하게 하는 등의 조정이 필수인 이유다.

외교는 엄연한 현실 속에 국익을 우선해야 한다. 2012년 이후 중단된 한·중·일 정상회담의 재개, 북한의 핵 야욕 포기와 잇단 무력 도발 대처의 공조 확대 등 중국의 협력을 이끌어내야 할 현안이 적지 않다. 박 대통령이 국익 외교의 성과를 내기 위해선 할 말을 제대로 해야 한다. 이는 행사 참석에 대한 미국 정부 등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일이기도 하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