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이날 “오늘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한미 연합공군 편대가 무력시위 비행을 실시했다”며 “우리 공군 F-15K 전투기와 미 7공군 F-16 전투기 4대가 2개 편대를 이뤄 진행했다”고 밝혔다.
한미 연합공군 편대는 강원도 동해상에서 만나 경북 예천군 북방 수 ㎞ 지역과 경기 오산시 등을 가로지르는 비행을 실시했다.
양국 공군은 상호 교신하며 가상의 핵심 적 표적을 폭격하거나 예상되는 적 항공기를 격퇴하는 훈련을 실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훈련에 참가한 전투기 편대가 북방한계선 인근까지 접근했는지는 파악되지 않지만 북한군이 보유한 감시자산으로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상공에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군은 전투기의 속도나 레이더상의 표적 크기 등으로 한미 공군 편대 비행을 파악했을 것으로 군 당국은 추정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이번 무력 시위 비행은 최근 북한의 도발에 대비해 한국 안보를 위협하는 어떠한 도발행위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한미 동맹의 결연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최후통첩 시한인 22일 오후 5시를 불과 4시간여 남겨둔 상황에서 북한군은 준전시체제를 유지고 당장이라고 도발을 감행할 수 있는 준비를 끝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현재 북한군은 완전군장을 하고 각자 위치의 진지에 포진해 있으며 병력들은 실탄 수령까지 마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북한 포병 화기들을 갱도 밖으로 꺼내놓고 전투가 가능한 위치에 펼쳐놓는 준비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군은 북한군의 추가 도발에 대비해 해당지역 부대에 최고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한미 당국이 보유한 정보감시자산을 총 동원,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뉴시스>뉴시스>
관련기사
-
한미 합참의장 “北, 추가도발시 동맹차원 강력 대응”
-
‘남북 고위급접촉 개최 합의 발표’ 전문
-
“北 확성기 타격 준비 조짐…76.2㎜ 견인포 DMZ 내 배치”
-
치고 빠지기식 도발 후 ‘발뺌’… 北 추가도발 시나리오 예상
-
오늘 ‘北 확성기 철거요구’ 시한…최전방 긴장 최고수준
-
늑장에, 원점타격도 못한 南… 우리軍 비아냥거리는 인민군
-
북한 외무성 성명…“제도 지키기 위해 전면전도 불사”
-
南北 날선 설전 ‘가열’…강경 대치 이어져
-
‘北 최후통첩’ 평양표준시로 오늘 오후 5시30분?
-
북한, 準전시상태 선포… 軍 완전무장 명령
-
韓·美 vs 北… 김정은 집권이후 첫 ‘强대强 대치’ 긴장고조
-
北도발 유엔 안보리 상정 가능성… 中 “전승절 앞두고 왜…”
-
여야 “남북고위급 회담 환영” 한목소리
-
남북, 오후 6시 판문점 고위급접촉…南김관진-北황병서
-
북한도 남북 고위급 판문점 접촉 신속하게 보도
-
남북, 극적 대화테이블 마련…대치 국면 출구 찾을까
-
남북, 무박2일 10시간 마라톤 고위급 접촉…“정회 후 계속 조율”
-
남북, 고위급 접촉 ‘정회’ ‘재개’ 합의 발표 문안
-
남북, 밤을 새운 ‘마라톤 협상’ 무슨 얘기했나
-
북한, 남북관계 ‘대통로 열기 위한 방안’도 제시한 듯
-
남북 고위급 접촉 일단 정회…오늘 오후 3시 재개키로
-
남북, 오후 3시30분께 고위급 접촉 판문점서 재개
-
‘밤샘협상’ 남북, 오후 고위급접촉 재개…‘합의도출’ 주목
-
판문점 ‘마라톤협상’ vs 최전방 ‘긴장수위 상승’…“협상 기싸움”
-
北 포격도발부터 남북 고위급 이틀째 접촉까지…숨가빴던 나흘
-
‘최악의 수’ 정면충돌시 남·북한 군사력 차이는?
-
‘팽팽한’ 남북 접점찾나… ‘일촉즉발 위기’ 해소 주목
-
北도발 한방에…강력한 ‘아이언맨’ 병사 나온다
-
北,잠수함·특수전요원 이어 공기부양정까지 전방 배치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