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수습자 유실방지망 설치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선체 인양을 위한 1차 사전조사를 마무리하고 16일부터 잔존유 회수 및 미수습자 유실 방지망 설치 작업에 착수, 11월 초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전조사 결과 지난해 수색구조 종료 때 설치한 유실 방지망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부는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의 선체 촬영 요구 등에 대해서는 작업 간섭으로 인한 인양 일정 지연 가능성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작업 현장 인원은 211명으로 잠수사 50명이 3개조로 활동하고 있고 15일 기준 총 188번 잠수했다.
1차 사전조사는 선체 내부에 진입해 인양 세부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잔존유 제거작업을 위한 기름탱크 위치 확인, 3D 선체 구조 모델링 작업 등으로 진행됐다.
사전조사 결과 잔존유 제거작업을 위한 기름탱크 위치가 확인됐고, 이 과정에서 잔존유 일부가 C·D 덱 내부로 유출, 회수했다고 해수부는 밝혔다.
3D 스캔 장비를 이용해 선체구조 모델링도 완료했다. 모델링 자료는 인양을 위한 동적 거동, 선체하중 시뮬레이션 작업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31개 선체 외판 주요 부분의 두께를 계측한 결과 부식 정도는 약 0.1∼0.3㎜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차량 등 화물 적재상태 확인결과 C·D 덱 내 차량 및 화물은 좌현 선미 측으로 쏠려 있지만 중첩돼 쌓이지 않고 단층으로 평면을 유지하고 있었다.
조사결과는 상세 설계 때 무게중심 및 선체 중량 계산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해수부는 이날부터 모든 탱크에 잔존유 제거 장비를 설치해 잔존유를 회수하고 모든 개구부에 유실 방지망을 설치할 계획이다.
박수진 기자 sujininva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