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도부와 회동 朴, 경제활성화 협조 강조
野, 교과서국정화 문제 지적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는 27일 박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앞서 20여 분간 티타임을 갖고 내년도 예산안과 역사교과서 국정화 전환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지난 22일 청와대 ‘5자회동’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각자 입장만 말한 뒤 5일 만의 만남이었지만 분위기는 어색했다.
이 자리에는 정의화 국회의장, 황교안 국무총리, 양승태 대법원장,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이인복 중앙선거관리위원장, 황찬현 감사원장과 박형준 국회 사무총장 등이 함께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회 시정연설 20분 전인 오전 9시 40분쯤 국회에 도착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는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먼저 박 대통령을 기다렸으며,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는 같은 시간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면서 조금 늦게 입장했다.
이날 티타임은 여야 모두 ‘절벽을 마주한 듯한 회동’이라 평가했던 청와대 5자회동의 연장선처럼 긴장감이 흘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청년 고용 절벽 해소와 안정적인 가계소득 기반 확대를 위한 ‘일자리 예산’ 통과를 여야 지도부에 부탁한 반면, 야당 지도부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입장을 재강조했다. 야당은 교육부가 확정 고시 전 ‘역사교과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한 점에 대한 문제도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의 시정연설에 대해 여야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여당은 정부가 추진 중인 4대 개혁과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필요성을 잘 설명한 연설이라고 호평한 반면, 야당은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 연설”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시정연설에서 언급된 정책 모두 시기를 놓치면 미래 발전이 없는, 중요한 내용이었기 때문에 매우 공감했다”며 “대통령의 말씀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야당의 ‘인쇄물 시위’에 대해 “국회의 품위를 스스로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문 대표는 “국정교과서 강행을 중단하고 경제와 민생 살리기에 전념해달라는 것이 국민의 간절한 요구인데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 연설”이라며 “경제를 어렵게 만든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와 무능에 대해 아무런 반성이나 성찰 없이 그저 상황 탓, 남 탓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정아 기자 jayoon@munhwa.com
野, 교과서국정화 문제 지적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는 27일 박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앞서 20여 분간 티타임을 갖고 내년도 예산안과 역사교과서 국정화 전환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지난 22일 청와대 ‘5자회동’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각자 입장만 말한 뒤 5일 만의 만남이었지만 분위기는 어색했다.
이 자리에는 정의화 국회의장, 황교안 국무총리, 양승태 대법원장,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이인복 중앙선거관리위원장, 황찬현 감사원장과 박형준 국회 사무총장 등이 함께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회 시정연설 20분 전인 오전 9시 40분쯤 국회에 도착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는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먼저 박 대통령을 기다렸으며,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는 같은 시간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면서 조금 늦게 입장했다.
이날 티타임은 여야 모두 ‘절벽을 마주한 듯한 회동’이라 평가했던 청와대 5자회동의 연장선처럼 긴장감이 흘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청년 고용 절벽 해소와 안정적인 가계소득 기반 확대를 위한 ‘일자리 예산’ 통과를 여야 지도부에 부탁한 반면, 야당 지도부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입장을 재강조했다. 야당은 교육부가 확정 고시 전 ‘역사교과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한 점에 대한 문제도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의 시정연설에 대해 여야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여당은 정부가 추진 중인 4대 개혁과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필요성을 잘 설명한 연설이라고 호평한 반면, 야당은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 연설”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시정연설에서 언급된 정책 모두 시기를 놓치면 미래 발전이 없는, 중요한 내용이었기 때문에 매우 공감했다”며 “대통령의 말씀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야당의 ‘인쇄물 시위’에 대해 “국회의 품위를 스스로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문 대표는 “국정교과서 강행을 중단하고 경제와 민생 살리기에 전념해달라는 것이 국민의 간절한 요구인데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 연설”이라며 “경제를 어렵게 만든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와 무능에 대해 아무런 반성이나 성찰 없이 그저 상황 탓, 남 탓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정아 기자 jayoo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