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구조조정 주력산업 육성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대내외 경제 환경의 구조 변화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을 정할 때 새로운 성장 전략을 수립하는데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주요 연구기관장 조찬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부총리는 “지난 3분기에 우리 경제가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전기 대비 1.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며 “이 같은 성장 모멘텀(동력)을 내년까지 이어간다면 3%대 성장률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우리 경제를 둘러싼 여건을 보면 긴장의 끈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의 경기 둔화 등 흔히 말하는 ‘주요 2개국(G2) 리스크(위험)’ 외에도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신흥 자원국의 불안과 예기치 못한 테러로 인한 불확실성 등이 확대되고 있는 양상”이라고 한국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여건을 진단했다.
그는 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의 저성장이 지속되면서 조선·철강·해운 등 글로벌 공급과잉 업종을 중심으로 한계 기업이 증가하는 것도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런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정부는 경제활력 제고와 구조개혁 노력을 더욱 강화하고, 세계 경제의 구조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성장 전략을 수립하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는 “내년에도 세계 경제의 뚜렷한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내수 중심의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도록 공공 부분이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며 “이런 가운데 민간 부분의 활력을 최대한 높일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새로운 산업전략 수립은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정부는 자발적 사업 재편 촉진과 기업구조조정 등을 통해 기존 주력산업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도록 하고, 새로운 성장 산업을 육성하는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해동 기자 haedong@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