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작전헬기 ‘와일드캣(AW-159)’도입 비리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최윤희 전 합참의장이 2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별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은 2012년 와일드캣이 우리 군의 해상작전헬기로 선정될 당시 해군참모총장이었던 최 전의장을 상대로 와일드캣 도입 과정에 개입했는지, 기종 선정을 둘러싸고 금품거래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해상작전헬기 ‘와일드캣(AW-159)’도입 비리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최윤희 전 합참의장이 2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별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은 2012년 와일드캣이 우리 군의 해상작전헬기로 선정될 당시 해군참모총장이었던 최 전의장을 상대로 와일드캣 도입 과정에 개입했는지, 기종 선정을 둘러싸고 금품거래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해상헬기 비리 의혹 조사…율곡비리 이후 軍출신 최고위직 피의자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해상작전헬기 ‘와일드캣’(AW-159) 도입 비리에 연루된 의혹을 받는 최윤희(62) 전 합참의장을 24일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최 전 의장은 1996년 검찰이 율곡사업(군 전력증강 사업) 비리로 이양호 전 국방장관을 구속수사한 이후 방산비리 피의자로 검찰 조사를 받는 군 출신 최고위직 인사다. 그는 지난달 7일 전역하고 48일 만에 검찰에 출두했다.

이날 오전 9시55분께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한 최 전 의장은 취재진을 만나 “조사에 성실하게 임하겠다”는 말만 남기고 합수단 조사실로 들어갔다.

합수단은 최 전 의장을 상대로 와일드캣 도입 과정에 개입했는지, 기종 선정을 둘러싸고 금품거래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 중이다.

최 전 의장은 2012년 와일드캣이 우리 군의 해상작전헬기로 선정될 당시 해군참모총장이었다.

와일드캣은 해군의 작전요구성능을 충족하지 않는 데다 실물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졸속 시험평가를 거쳐 도입이 결정됐다. 이미 해군 박모 소장 등 전·현직 군 관계자 7명이 시험평가서 허위 작성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특히 박 소장은 합수단 조사에서 “최 전 의장의 지시에 따라 와일드캣 도입 사업을 진행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수단은 와일드캣 도입 때 해외 제작사와 우리 군의 거래를 중개했던 S사의 대표 함모씨가 최 전 의장 측과 의심스러운 금품거래에 대해서도 추궁하고 있다.

함씨는 개인사업을 준비하던 최 전 의장 아들에게 2천만원을 줬다가 1천500만원을 돌려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조사를 받은 최 전 의장의 아들은 “아버지와는 무관하며 개인적으로 빌렸던 것”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수단은 최 전 의장을 조사한 뒤 이번 주 후반께 뇌물공여·배임증재 등의 혐의로 함씨의 구속영장을 재청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