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각 43억·19억달러 손실
對日 화학수출 11억달러 ↓
“글로벌 공급망 배제 타격 커
TPP 가입 최대한 서둘러야”
우리나라가 미국·일본 등이 참여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불참할 경우 협정 발효 후 10년간 부품소재 산업에서 132억6000만 달러(약 15조5000억 원)의 수출 손실을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TPP 체결에 따른 한국 부품소재 산업의 무역 효과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 완전 철폐 시 TPP 발효 후 10년간 글로벌 공급망 의존도가 가장 높은 우리나라 부품소재 산업의 대 미국 부가가치 수출은 113억 달러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대 일본 부가가치 수출 역시 19억6000만 달러 감소해, 모두 132억6000만 달러의 수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부품소재 산업에 있어 우리나라가 TPP 역내 국가들에 대한 수출액 중 17.9%에 해당하는 규모다.
산업별로 보면 TPP 발효 후 10년간 한국의 대미 수출에 있어 섬유 산업 분야 4억4000만 달러, 화학 17억1000만 달러, 철강 19억1000만 달러, 기계 ·전기 산업 각각 7억1000만 달러, 전자 14억5000만 달러, 수송기계 43억7000만 달러의 수출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됐다.
또 일본 수출에서도 섬유 4억2000만 달러, 화학 11억5000만 달러, 철강 3억9000만 달러, 전기 240만 달러, 전자 480만 달러 등의 손실이 예상된다.
베트남 현지 생산법인을 둔 한국 기업들의 TPP 역내 국가에 대한 수출도 연간 6억2000만 달러, 멕시코 현지 글로벌 공급망을 활용하는 TPP 역내 수출은 연 2억9000만 달러가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최남석 전북대 무역학과 교수는 “2008년 이후 섬유와 화학, 기계, 전기, 전자, 자동차 부품 수출의 글로벌 가치사슬 의존도가 높아져 TPP 체결로 형성되는 아·태 지역 글로벌 공급망에서 한국 기업이 배제될 경우 부품소재 산업의 직·간접 타격이 예상된다”며 “우리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활용과 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위해 TPP 가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계 최대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 될 TPP 협상은 지난 10월 5일 타결됐다. TPP가 발표될 경우 미국, 일본 등 참여 12개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관세를 철폐하거나 인하해 무역장벽을 없애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