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이전부터 강조
회담후 서둘러 아베와 통화
정부 “최선의 선택” 자평


한·일 양국이 28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에 전격 합의했지만 서둘러 합의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그동안 강조했던 연내 타결 시한이 오히려 ‘반쪽의 합의’라도 이끌어내도록 조급증을 낳은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된다.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합의한 직후 박 대통령은 서둘러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합의는 피해자분들이 대부분 고령이시고 올해에만 아홉 분이 타계하시어 이제 마흔여섯 분만 생존해 계시는 시간적 시급성과 현실적 여건하에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이루어낸 결과로, 이를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정신적인 고통이 감해지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지난 11월 2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연내 타결 의지를 피력했다. 박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 내용대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고령화로 인해 합의를 늦출 경우 오히려 문제 해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보고 결론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인 올해가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해법을 찾는 최적의 시점이라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 관계자는 “피해자들이 하나둘 세상을 떠나가는 상황과 한·일 관계의 미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선의 안을 선택했다”면서 “박 대통령은 일본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아베 총리가 사죄와 반성을 표명한 점을 높이 평가하고 합의안을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한·일 외교장관회담이 끝나자마자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을 접견하고, 아베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대화를 나눈 점도 오해를 부르고 있다. 전략적 템포 조절이 필요한 국가적 중대사안에 대해 마음만 너무 급한 것 아니냐는 오해다.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에게 “양국 정부가 어려운 과정을 거쳐 합의에 이른 만큼 이번 합의를 바탕으로 신뢰를 쌓아가며 새로운 관계를 열어갈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제교 기자 jklee@munhwa.com
이제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