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분석 “외교적 수사·역할에 머물 듯” 6일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결연히 반대한다”며 “국제적으로 해야 할 바를 하겠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북 제재에 동참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중국이 이번에는 독자적인 제재에 나설 가능성이 주목된다.

중국의 전문가들은 “안보리 제재방침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이 개별적인 차원의 대북 제재에 나설지, 그 내용이 어떤 것이 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스인훙(時殷弘) 중국 런민(人民)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7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소위 ‘수소폭탄 실험’은 중국의 이익을 침해하고 원칙을 저버린 것으로 중국은 안보리의 결의에 적극 참여함은 물론이고 한국이나 미국 등 관련 국가들과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제재를 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쑤하오(蘇浩) 외교학원 교수는 개별 제재에 대해서는 “있을 수도 있다”면서도 “다만 원유 공급 중단은 북한 체제의 붕괴까지 초래할 수 있고 식량 역시 인도적 문제라는 점은 고려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대북 제재는 외교적 수사와 역할에 머물 뿐 실제로 강력하게 조치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이와 관련,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존 손턴 중국센터’의 조너선 폴락 선임연구원은 6일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금융 제재를 결의할 경우 중국의 역할이 결정적”이라고 밝혔다.

베이징=박세영 특파원, 김대종 기자 go@

관련기사

박세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