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 긴급회의 후 밝혀
“2대 지침 논의해야” 촉구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노사정위)가 한국노총의 노사정대타협 파탄 선언과 관련, 15일 오전 긴급 회의를 열었다.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회의 후 “한국노총은 정부가 2대 지침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오해를 풀고, 사회적 대화 테이블로 돌아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노동개혁 논의 기구인 노동시장구조개선특별위원회의 긴급 간담회를 소집하고, 한국노총의 9·15 노사정대타협 파탄 선언과 관련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해 11월 김 위원장이 맡던 특위 위원장에 송위섭 아주대 명예교수가 위촉된 후 김 위원장이 특위 회의를 주재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날 회의는 한국노총이 오는 19일 노사정위 불참 선언을 하겠다고 공언한 데 따른 것으로, 14일 갑작스럽게 소집됐다. 회의에는 고영선 고용노동부 차관, 이동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 등 노사정 특위 위원이 참석했으나, 한국노총은 불참했다. 김 위원장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지난해 12월 30일 고용부 주최 전문가 토론회는 정부가 초안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고 오해할 만한 소지는 있으나, 초안 마련을 위한 의견 수렴 과정으로 양해하고 노동계는 합의 정신의 초심으로 돌아가 충실한 협의를 해야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그는 논의 시한을 한국노총의 요청대로 ‘기한의 정함이 없이’ 가져가는 것은 무리라는 견해도 내놨다. 김 위원장은 “대타협 당시에도 시한을 정해놓았다”며 “정부는 추진 속도의 유연성을 가져다주고, 노동계는 충분한 협의를 빨리 시작하는 게 정도라는 것을 알아 달라”고 말했다.
김영주 기자 everywhere@munhwa.com
“2대 지침 논의해야” 촉구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노사정위)가 한국노총의 노사정대타협 파탄 선언과 관련, 15일 오전 긴급 회의를 열었다.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회의 후 “한국노총은 정부가 2대 지침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오해를 풀고, 사회적 대화 테이블로 돌아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노동개혁 논의 기구인 노동시장구조개선특별위원회의 긴급 간담회를 소집하고, 한국노총의 9·15 노사정대타협 파탄 선언과 관련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해 11월 김 위원장이 맡던 특위 위원장에 송위섭 아주대 명예교수가 위촉된 후 김 위원장이 특위 회의를 주재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날 회의는 한국노총이 오는 19일 노사정위 불참 선언을 하겠다고 공언한 데 따른 것으로, 14일 갑작스럽게 소집됐다. 회의에는 고영선 고용노동부 차관, 이동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 등 노사정 특위 위원이 참석했으나, 한국노총은 불참했다. 김 위원장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지난해 12월 30일 고용부 주최 전문가 토론회는 정부가 초안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고 오해할 만한 소지는 있으나, 초안 마련을 위한 의견 수렴 과정으로 양해하고 노동계는 합의 정신의 초심으로 돌아가 충실한 협의를 해야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그는 논의 시한을 한국노총의 요청대로 ‘기한의 정함이 없이’ 가져가는 것은 무리라는 견해도 내놨다. 김 위원장은 “대타협 당시에도 시한을 정해놓았다”며 “정부는 추진 속도의 유연성을 가져다주고, 노동계는 충분한 협의를 빨리 시작하는 게 정도라는 것을 알아 달라”고 말했다.
김영주 기자 everywher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