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 남은 것은 북한뿐’
국제사회에 일종의 시그널
韓기업 진출 지원도 협의
박근혜 대통령이 핵협상 타결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풀린 이란을 전격 방문할 계획이다.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은 ‘경제’와 ‘북핵’의 이중 포석을 안고 있다. 북한 핵 문제의 이란식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건설기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체들의 이란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현재 이란 정부 입장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은 올해 상반기 중에 이뤄질 전망이다.
27일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춘추관 정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 계획을 묻는 질문에 “박 대통령이 이란 방문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은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사상 처음이다. 정 대변인은 방문 시기와 관련해 “추가적인 것은 확정되면 알려드리겠다”고 답했지만 청와대 내부에서는 올해 상반기 방문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은 지난해 7월 이란 핵협상 타결 이후 국제사회가 본격적인 제재해제 논의를 시작하면서 추진됐다. 청와대는 ‘P5+1’(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인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 + 독일)과 이란과의 핵협상 타결은 교착상태인 북핵 문제 해결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핵무기 개발단계인 이란과 핵무기 개발을 사실상 완료한 북한과는 핵 개발 프로그램의 진척 정도가 다르지만 국제사회가 협력해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 자체는 국제사회에 대해 ‘이제 남은 것은 북한뿐’이라며 북핵 문제에 대한 주의 환기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이란 방문에서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고 한국 기업의 이란 진출 및 지원 등 경제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집중 협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3일 이란을 찾아 로하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고 양국 교역 규모를 향후 10년 안에 6000억 달러(약 720조 원)로 늘리기로 합의한 바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오는 6∼7월쯤 이란 방문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은 인구가 8000만 명으로 중동 최대 내수시장을 갖고 있다. 서방국가들의 제재로 묶여 있던 자금이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등에 대거 풀리면서 연간 6∼8%대의 고도성장이 예상된다.
이제교 기자 jkle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