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위·민생본부·여연 등
‘컨트롤타워’ 없이 분산돼
재탕·삼탕 공약 반복 지적


새누리당이 4·13 총선 공약을 4일 발표할 예정이지만 당내에서는 공약 개발 주체가 정책위원회와 민생 119본부, 여의도연구원 등으로 분산돼 ‘종합선물세트식’ 공약 나열에 불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총선 공약을 조율할 컨트롤 타워가 불분명하고 시간도 촉박한 만큼, 재탕·삼탕 공약이 나올 것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새누리당은 4일 오후 2시 ‘일자리 창출을 통한 복지’ ‘사회 격차 해소’ ‘부담 완화’ 등을 주제로 한 생활밀착형 총선 공약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전 계층을 상대로 한 공약을 우선 발표하고, 계층별·지역별 공약을 수립해 2월 말 공약집을 완성할 계획이다. 여권 관계자는 “야당에서 주장하는 뜬구름 잡는 성장 공약과는 차별해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증대 방안을 공약에 담고, 기회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사회 격차 해소와 부담 완화가 중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벌써 나열식 공약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 19대 총선 공약 개발에 참여했던 한 핵심 인사는 이날 통화에서 “공약은 컨트롤 타워에서 큰 그림을 주도적으로 그리고 나서 세부적인 공약이 나와야 하는데, 지금은 공약을 각자 개발하고 나서 취합하는 방식이라 공약 개발 주체도 불명확하다”며 “이런 식으로 하면 공약을 나열하는 수준에 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새누리당은 지난 1월 초 총선 공약개발본부를 발족, 김정훈 정책위의장을 본부장으로 하고 자문위원단, 정책홍보단, 이미 가동 중이던 민생 119본부 등 세 갈래로 운영했다. 정책위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았지만 이날 오후에야 분야별 공약 취합이 최종 완료될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대선을 앞둔 지난 총선에선 당이 공약 개발에 전념하는 분위기였는데 이번엔 그런 움직임이 전혀 없어 재탕·삼탕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동하 기자 kdhaha@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