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올해 중점 과제
산사태·병해충 등 집중 관리


우리 숲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지키는 산림행정에도 첨단 스마트 테크놀로지가 총동원되고 있다. 산림청은 산불, 산사태, 병해충 등 ‘3대 산림재해’를 효율적으로 예방 관리하기 위해 올해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무인항공기(드론) 등 첨단 기술을 현장 대처능력 업그레이드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3일 산림청이 밝힌 ‘건강하고 안전한 산림 구현을 위한 올해 중점 국정 과제’에 따르면 그동안 분산 운영됐던 산불·산사태·산림항공 관리시스템을 통합·공개하고, 재해예측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확충하는 스마트 재해방지 시스템 구축도 본격화된다. 올해 말까지 산림공간정보서비스(FGIS)를 기반으로 산불·산사태·산림항공 시스템 통합을 완료하고 민간에 유용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할 계획이다. 전국 산불감시원 네트워크를 통한 실시간 모바일 정보, 산불감시 CCTV 영상정보, 산사태 감지 센서로 모은 사면(斜面)이동 정보, 진화헬기 운항정보, 산악기상정보, 비무장지대(DMZ) 산불 위성감시 정보 등 각종 산림재해 관련 데이터 수집을 확대할 예정이다. 수집 데이터는 산림청과 자치단체는 물론 중앙재해대책본부 등 유관기관, 일반국민에까지 신속하게 전파돼 산림재해 발생을 사전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된다.

그동안 인력에만 의존하던 병해충 예찰에도 드론이 본격 활용된다. 산림청은 드론을 동원한 병해충 피해목 조사 사업 면적을 지난해 4000㏊에서 올해 5만㏊로 대폭 늘렸다. 최병암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산림 400㏊를 기준으로 인력예찰은 두 사람이 꼬박 열흘 정도 소요되는 데 비해 무인항공예찰은 하루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대형산불 예방에는 ‘빅 데이터 분석기법’이 도입된다. 역대 산불자료를 분석해 권역별로 인력과 장비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2만3000명에 이르는 산불감시 인력의 과거 GPS단말기 이동 경로를 조사해 산불취약지 위주로 근무 순찰지를 개선, 조정하게 된다. 근거리 상호통신 체계인 전자순찰함을 올해 전국 산불 취약지 1300개소에 설치해 산불감시인력의 활동정보를 산림 당국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관리가 강화됐다.

이와 함께 무분별한 산림 내 위법행위 감시는 더 매서워진다. 17명 규모의 산림사법수사대 조직을 신설하고, 청원산림보호직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법무부와 협의하기로 했다. 건강한 산림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보호정책도 계속된다. 생태계 보호를 위한 국제적 약속인 ‘생물다양성협약’ 이행을 위해 보전가치가 높은 국립공원 내 산림의 단계적 보호구역 지정을 추진한다. 백두대간·DMZ 일원 훼손지역을 친환경적으로 복원하고, 특히 백두대간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재를 추진키로 했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지난해 23년 만에 산사태 무재해를 기록했고, 2년 연속으로 대형산불 제로화와 산림헬기 무사고 기록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올해는 첨단기술로 더욱 고도화된 정책수단을 강구해 건강하고 안전한 산림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 = 김창희 기자 chkim@munhwa.com
김창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